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김승옥 소설의 남성 주체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논문은 남성성이 구성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김승옥 소설의 남성 주체에 대한 젠더적 독해를 시도하였다. 김승옥 소설의 남성 인물은 자신이 속한 시대와 담론의 영향 속에서 다양한 측면의 불완전하고 복잡한 남성성을 체현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남성 주체의 성격을 적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 남성성 연구의 시각을 수용하였다. 이는 기존의 성별정치학적 관점이 보여준 전형적 결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포괄하며, 작품 속 남성 주체가 자신의 남성성을 구성해나가는 과정과 그 내적 논리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졌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은 김승옥 소설이 그려낸 남성―남성 간의 차이, 남성적 지배 이데올로기와 개별 남성 주체의 관계, 지배적 남성성과 주변화된 남성성의 위계, 남성 주체의 변별화 전략 등에 주목하였다.

    Ⅱ장에서는 김승옥 초기 소설을 대상으로 남성 주체의 입사 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작가가 동인으로 활동했던 󰡔산문시대󰡕가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식, 그리고 4·19 이후 담론장에서 남성-대학생-청년 주체가 구성되는 방식을 검토하여 아비 부정과 형제애로 이어지는 남성성의 구성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김승옥 소설에서 남성 주체는 부재한 아버지의 자리를 채우는 다른 남성들의 관계 속에서 입사를 경험한다. 그의 입사 과정은 남성적 세계를 향한 인정투쟁의 양상으로 나타나며, 다른 남성들의 승인을 얻기 위한 통과 의례를 통해 완성된다. 작품 속에서 남성 주체에게 주어진 과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폭력적 경험의 형식으로 드러난다.
    김승옥 소설의 ‘자기 세계’는 남성 주체가 여성이라는 타자를 훼손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죄의식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김승옥 소설의 주인공은 도덕적 마조히즘의 기제를 거쳐 죄의식-자기 처벌-속죄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과하여 ‘자기 세계’를 가진 개별적이고 윤리적인 주체로 거듭난다. 본 논문은 김승옥 초기 소설이 여성의 타자성과 고통을 미학적으로 경유하여 남성 성장의 서사를 완성한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것이 진정한 성장이 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Ⅲ장에서는 60년대적 근대화의 흐름 속에서 지식인 남성 주체가 구성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무진기행」 이후 김승옥 소설은 사회로 진입한 남성 주인공의 도시 체험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기 시작한다. 작품 속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남성 주체의 열등의식과 패배감이다. 그는 경제적 조건을 통해 서열화된 남성 인물 간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예민한 감각으로 인식한다. 작품 속에서 주인공을 둘러싼 주변 남성 인물들은 ‘천박한 속물’과 ‘어리숙한 패배자’로 이분화된다. 남성 주체는 수직적 위계와 극단적인 대립의 구도 속에서 어느 쪽도 선택하지 않는 방식으로써 세계와 변별되며, 모호하고 수동적인 태도로 ‘사이’에 자신의 자리를 점하는 전략을 통해 결백의 알리바이를 획득한다. 본 논문은 김승옥 소설이 취하는 이러한 전략을 60년대 지식인 남성 주체가 자신의 속물적 욕망을 은폐하기 위해 마련한 방식으로 해석하였다.
    이 시기 김승옥 소설에서 중심과 주변으로 위계화된 도시의 삶 속에서 여성 인물들은 ‘창녀’의 표상으로 등장한다. 본 논문은 작품 속에서 여성의 주변부성이 ‘비(非)-처녀성’으로 치환되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김승옥 소설의 남성 주체는 도시의 삶 속에서 약자적 위치에 놓인 여성 인물을 배반하는 죄를 짓고서, 그런 자신을 고백하는 형식을 통해 윤리적 위상을 획득한다. 본 논문은 남성 주체가 취하는 고백의 전략과 위악의 논리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김승옥 소설에 담긴 여성이라는 타자를 향한 연민의 시선이 포즈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Ⅳ장에서는 60년대 후반 이후 김승옥이 보인 전향적 행보의 의미를 살피고, 작품에 나타난 남성 주체의 변모 양상에 주목하였다. 작가의 자전적 기록과 작품을 통해 유추해본 결과, 그가 본격화된 체제의 억압과 발전주의의 흐름 속에서 문학과 지식, 소설의 윤리와 성찰이 갖는 현실성에 상당한 회의를 느끼고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김승옥 후기 소설 속 지식인 남성 주체들이 위축되고 축소된 인물 형상으로 등장하는 것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여성 인물은 스스로의 욕망과 섹슈얼리티를 통해 근대적 도시의 삶에 안착하는 모습으로 그려짐으로써 남성 인물들과 변별된다. 남성 인물들은 전유 불가능한 여성 타자의 존재를 통해 근대화의 흐름 속에서 무력하고 무능한 자신의 자리를 다시 확인한다.

    김승옥 소설 속 남성 주체는 60-70년대 급변하는 한국 사회에 요구된 젠더 규범과 이데올로기적 남성성에 충돌하거나 혹은 영합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남성적 정체성을 만들어나갔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김승옥 소설의 주체가 내면을 발견하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이 그 자신의 남성성을 구성해가는 과정과 다르지 않음을 규명하였다. 이 과정이 그가 속한 시대적 조건과 지배적 담론의 영향과 다양한 층위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 그리고 여성이라는 타자의 존재를 경유하는 서사적 상상력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 I.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문제 제기 1
    • 2. 연구사 검토 7
    • 1) 김승옥 소설 연구 7
    • 2) 김승옥 소설의 젠더에 관한 연구 11
    • 3. 연구의 시각 및 절차 17
    • II. 남성 주체의 입사(入社)와 성장의 윤리학 23
    • 1. 419와 남성적 세계의 구성 방식 23
    • 1) 산문시대의 등장과 자기규정의 기획 23
    • 2) 아비 부정의 양상과 아비 없는 아들들의 행방 26
    • 3) 남성-주체 되기와 형제애의 메커니즘 30
    • 2. 소년과 성인 사이, 모방적 남성성의 양상 35
    • 1) 모방 욕망의 구조와 남성 간 유대 35
    • 2) 남성적 세계를 향한 인정투쟁의 과정과 통과 의례의 딜레마 40
    • 3) 우회적 서술과 은폐적 태도의 전략 45
    • 3. 내면의 형성과 여성이라는 타자 50
    • 1) '자기 세계'의 의미와 주체 정립의 논리 50
    • 2) 남성 주인공의 죄의식과 고통의 주체화 54
    • 3) 여성의 타자성과 고통의 미학화 57
    • III. 남성 주체의 환멸과 자기기만의 수사학 60
    • 1. 60년대적 세태와 남성적 세계의 구성 방식 60
    • 1) 60년대 서울의 풍경과 가난의 감각 60
    • 2) '시골 출신' 대학생이라는 조건과 주체의 분열 64
    • 3) 남성적 세계의 서열과 열등의식의 발현 69
    • 2. 중심과 주변 사이, 기만적 남성성의 전략 73
    • 1) 수직적 위계의 구도와 남성 주체의 자리 73
    • 2) '선택하지 않음'의 선택과 변별화의 기획 76
    • 3) 수동적 남성성의 전략과 결백의 수사학 81
    • 3. 고백의 형식과 여성이라는 타자 85
    • 1) 주변부 여성의 형상화 방식과 근대를 매개하는 여성 표상 85
    • 2) 남성 주체의 기만과 자기동일적 태도 89
    • 3) 고백이라는 장치와 위악의 포즈 95
    • IV. 남성 주체의 속물화와 성(性)의 위상학 99
    • 1. 소시민의 생활과 남성적 세계의 구성 방식 99
    • 1) 문학의 '비현실성'과 대중성으로의 전향 99
    • 2) 미완(未完)으로 남은 소설의 의미 102
    • 2. 낙오와 지배 사이, 속물적 남성성의 자리 107
    • 1) 물정(物情)의 이치와 도태된 남성 주체의 형상 107
    • 2) 우울증적 남성 주체와 남성성의 상실 110
    • 3. 성(性)의 물화(物化)와 여성이라는 타자 114
    • 1) 도시의 퇴폐와 여성의 섹슈얼리티 114
    • 2) 위축된 남성성과 전유 불가능한 타자의 발견 118
    • V. 결론 124
    더보기
    • 1 강준만, "null", 한국대중매체사, 2007
    • 2 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2
    • 3 권보드래, 천정환, "1960년을 묻다", 천년의 상상, 2012
    • 4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 5 이상길, "상징권력과 문화", 컬처룩, 2020
    • 6 황호덕, "프랑켄 마르크스", 민음사, 2008
    • 7 오제연, "4월혁명의 주체들", 역사비평사, 2020
    • 8 김승옥, "뜬 세상에 살기에", 위즈덤하우스, 2017, 1977
    • 9 윤효녕,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 10 피에르 부르디, "구별짓기, 최종철 옮김", 새물결, 2005
    • 11 Donaldson , Mike, "What Is Hegemonic Masculinity ?", 1993
    • 12 조희연,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역사비평사, 2007
    • 13 김현, "구원의 문학과 개인주의", 김현문학전집 2, 문학과지성사, 1991
    • 14 송태욱, "김승옥과 ‘고백’의 문학",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1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2, 2판", 민음사, 2002
    • 16 질 들뢰즈, "매저키즘, 이강훈 옮김", 인간사랑, 1996
    • 17 제라르 주네트, "서사 담론, 권택영 옮김", 교보문고, 1992
    • 18 김호기, "박정희시대와 근대성의 명암", 창작과 비평 봄호, 1998
    • 19 김윤식, "한국 현대문학사, 수정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20 신형기, "개발의 시대, 변화와 운명", 평민사, 1997
    • 21 프랑코 모레티, "세상의 이치, 성은애 옮김", 문학동네, 2005
    • 22 게오르그 루카치, "소설의 이론, 김경식 옮김", 문예출판사, 2007
    • 23 프란츠 K. 슈탄젤, "소설의 이론, 김정신 옮김", 문학과비평사, 1990
    • 24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조현준 옮김", 문학동네, 2008
    • 25 차미령, "김승옥 소설의 탈식민주의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26 김경연, "통속의 정치학, 어문논집 62", 중앙어문학회, 2015
    • 27 김현, "창간호―선언, 산문시대 1호", 가림출판사, 1962
    • 28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1~5, 개정판", 문학동네, 2004
    • 29 마사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조계원 옮김", 민음사, 2015
    • 30 유종호, "감수성의 혁명, 유종호전집 1", 민음사, 1995, 1966
    • 31 래윈 W. 코넬, "남성성/들, 안상욱 현민 옮김", 이매진, 2013
    • 32 서중석, "한국 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개정증보판, 2013
    • 33 김미란, "김승옥 문학의 개인화 전략과 젠더",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6
    • 34 프란츠 K. 슈탄젤, "소설형식의 기본유형, 안삼환 옮김", 탐구당, 1990
    • 35 가라타니 고진,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박유하 옮김", 도서출판b, 2010
    • 36 권명아,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책세상, 2000
    • 37 리타 펠스키, "근대성의 젠더, 김영찬 심진경 옮김", 자음과 모음, 2010
    • 38 김승옥, "먼지 하나의 記錄, 젊은 作家의 日記", 문학예술사, 1978
    • 39 이상길, "상징자본과 사회계급, 언론과 사회 21",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 40 라이언 마이클, "마르크스주의와 해체론, 윤효녕 옮김", 한신문화사, 1998
    • 41 정규웅, "동인지 전성시대, 글동네에서 생긴 일", 문학세계사, 1999
    • 42 공종구, "김승옥 소설의 근대성, 현대소설연구 9", 한국현대소설학회, 1998
    • 43 린 헌트,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조한욱 옮김", 새물결, 2000
    • 44 송주현, "김승옥 소설과 여성혐오, 문화와 융합 40-2",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 45 허주영, "남성 동성사회의 가장자리와 불완전한 남성성", 한국여성학 34, 한국여성학회, 2018
    • 46 정희진, "편재(遍在)하는 남성성, 편재(偏在)하는 남성성", 남성성과 젠더, 권김현영 편, 자음과모음, 2011
    • 47 김현, "60년대 문학의 배경과 성과, 김현문학전집 7", 문학과지성사, 1992
    • 48 프랑코 모레티, "근대의 서사시, 조형준 옮김, 새물결출판사", 재판, 2017
    • 49 엠마누엘 레비나스, "전체성과 무한, 김도형 문성원 손영창 옮김", 그린비, 2018
    • 50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김덕영 윤미애 옮김", 새물결, 2005
    • 51 신혜경, "벤야민&아도르노―대중문화의 기만 또는 해방", 김영사, 2009
    • 52 임옥희, "주디스 버틀러 읽기―젠더의 조롱과 우울의 철학", 여이연, 2006
    • 53 마르트 로베르, "기원의 소설, 소설의 기원, 김치수 이윤옥 옮김", 문학과지성사, 1999
    • 54 김윤식, "시인 좀비족 한글 제Ⅰ세대, 현대소설과의 대화", 현대소설사, 1992
    • 55 김병익, "60년대 문학의 가능성, 문학과 사회, 김종회 편저", 집문당, 1997
    • 56 하정일, "주체성의 복원과 성찰의 서사, 1960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 57 르네 지라르,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김치수 송의경 옮김", 한길사, 2001
    • 58 송태욱, "김승옥 소설의 독자를 찾아서, 르네상스인 김승옥", 앨피, 2005
    • 59 정과리, "자기 정립의 노력과 그 전망, 문학, 존재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1985
    • 60 지그문트 프로이트, "토템과 터부, 종교의 기원, 이윤기 옮김, 열린책들", 신 판, 2020
    • 61 이수형, "주체의 책임과 자유―김승옥의 중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16, 2006
    • 62 백문임, "60년대의 감수성, 야행을 만나다, 르네상스인 김승옥", 도서출판 앨 피, 2005
    • 63 김미란, "4 19혁명의 정치적 상상력과 개인 서사, 겨레어문학 35", 겨레어문 학회, 2005
    • 64 백지연, "도시의 거울에 갇힌 나르키쏘스, 4월 혁명과 한국문학", 창작과 비 평, 2002
    • 65 채호석, "무진기행과 소설의 가능성, 문학의 위기, 위기의 문학", 새미, 2000
    • 66 김미현, "근대성과 여성성-김승옥 소설을 중심으로, 젠더프리즘", 민음사, 2008
    • 67 이선옥, "열광, 그후의 침묵과 단절의 의미, 4월혁명과 한국문학", 창비, 2002
    • 68 이은영,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 연구, 한민족어문학 62", 한민족어 문학회, 2012
    • 69 윤지관, "세상의 길: 4 19세대 문학론의 심층, 4월혁명과 한국문학", 창비, 2002
    • 70 김현, "한국 소설의 가능성―리얼리즘론 별견, 김현문학전집 2", 문학과지성 사, 1991
    • 71 박길성, "1960년대 사회변화연구 :1963-197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백 산서당, 1999
    • 72 설혜경, "4 19세대의 자기 부정과 위악의 윤리, Journal of Korean Culture 33",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6
    • 73 조순, "경제성장 1953~76, 한국사회-인구와 발전 1, 이해영 권태환 편", 서 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구및발전문제연구소, 1978
    • 74 백승욱, 이지원, "1960년대 발전 담론과 사회개발 정책의 형성, 사회와 역사 107", 한국사회사학회, 2015
    • 75 곽상순, "김승옥 단편 소설의 여성인물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49", 한국 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 76 김영임, "김승옥 소설의 ‘개인’에 담긴 남성성/들, 한국언어문화 60", 한국언 어문화학회, 2016
    • 77 황도경,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남(男)-성(性)의 부재, 이화어문논집 17", 이 화어문학회, 1999
    • 78 유의영, "인구이동과 도시화, 한국사회-인구와 발전 1, 이해영 권태환 편", 서 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구및발전문제연구소, 1978
    • 79 김승옥, 최원식, "좌담: 4월 혁명과 60년대를 다시 생각한다, 4월혁명과 한 국문학", 창비, 2002
    • 80 이호규, "1960년대 소설의 주체 생산 연구―이호철, 최인훈, 김승옥을 중심으 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 81 김주현, "‘의거’와 ‘혁명’ 사이, 잊힌 여성의 서사들, 여성문학연구 23", 한국 여성문학학회, 2010
    • 82 설혜경, "김승옥 소설의 죄의식의 경제와 자본주의 논리,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 83 김승옥, 조성진, "김승옥 인터뷰: 살아서 써야 할 숱한 이야기들, 르네상스인 김승옥", 도서출판 앨피, 2005
    • 84 장경실,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일탈과 저항의 양상,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 순천향대 인문과학연구소, 2015
    • 85 서영인, "산문시대와 새로운 문학장(場)의 맹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 86 권성우, "60년대 비평 문학의 세대론적 전략과 새로운 목소리, 년대 문 학 연구", 예하, 1993, 1960
    • 87 김주연, "새시대 문학의 성립-인식의 출발점으로서의 60년대, 김주연평론문학 선", 문학사상사, 1992
    • 88 지크문트 프로이트, "슬픔과 우울증, 정신분석학의 기본 개념, 윤회기 박찬부 옮김, 열린책들", 신판, 2020
    • 89 지크문트 프로이트, "신경증 환자의 가족 소설,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박종대 옮김, 신판", 열린책들, 2020
    • 90 신형철, "여성을 여행하(지 않)는 문학-무진기행의 정신분석적 읽기, 한국 근대문학연구 5-2", 한국근대문학회, 2004
    • 91 김영찬, "열등의식의 문학적 탐구 : 김승옥의 더 많은 덫을에 대하여, 한국 근대문학연구 12", 한국근대문학학회, 2010
    • 92 지크문트 프로이트, "마조히즘의 경제적 문제,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윤회 기 박찬부 옮김, 열린책들", 신판, 2020
    • 93 조진기, "불안한 감수성과 퇴폐적 일상―김승옥 장편소설의 통속성을 중심으로, 작가연구 6", 새미, 1998
    • 94 전상기, "문화적 주체의 구성과 소시민 의식-‘소시민’ 논쟁의 비평사적 의미,  상허학보 13", 상허학회, 2004
    • 95 이호규, "1960년대 산문시대 동인의 문학적 자의식 연구-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62", 한국문학회, 2012
    • 96 류진아,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식 연구: 현상학적인 장소개념을 중심으 로, 국어문학 57", 국어문학회, 2014
    • 97 류보선, "김승옥론-개인과 사회의 대립적 인식과 그 의미, 한국현대작가연 구, 류보선 권영민 편", 문학사상사, 1991
    • 98 김건우, "4 19세대 작가들의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낙오자’ 모티프의 의미, 한국근대문학연구 8", 한국근대문학회, 2007
    • 99 추선진, "‘4․19 소설’의 여성 표상 연구 -연애/가족 서사의 정치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8
    • 100 김보배, "김승옥 소설에 나타나는 페르세우스형 인물 유형론-여성의 훼손을 중 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40-2",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 101 김영찬, "혁명, 언어, 젊음-4 19의 불가능성과 4 19세대 문학, 년대 문 학과 문화의 정치,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편",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5, 1960
    • 102 강지윤, "감수성의 혁명과 반(反)혁명―김승옥의 무진기행과 ‘여성’이라는 암 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오혜진 편", 민음사, 2018
    • 103 김은하, "이동하는 모더니티와 난민의 감각-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지방 출신 대 학생의 도시 입사식(入社式)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60", 고려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2017
    • 104 장세진, "아비 부정, 혹은 1960년대 미적 주체의 모험-김승옥과 이제하의 텍스 트에 나타난 주체 형성과 권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상허학보 12", 상허학회,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