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직무영역 확대를 위한 비서-의료서비스 직무역량분석 = Analysis of Job Competency in Secretary-Medical Services to Expand the Job Area
저자
윤지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3-90(28쪽)
제공처
현대 사회는 기후 변화, 디지털 기술의 발전, 인구 고령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전문 지식을 가진 인재를 필요로 한다. 특히, 기업경영 및 의료서비스 분야에서는 인간중심의 접근 방식과 사회적, 윤리적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서와 의료서비스 직무의 NCS 기반 역량을 분석하고, 기초 능력, 기술, 태도 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NCS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직무 역량 분석과 채용정보를 활용한 실무적 역량 분석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 코디네이터와 비서 직무는 여러 공통역량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직무 모두 의사소통 능력, 대인 관계 능력, 문제 해결 능력등이 중요하게 요구되었으며, 각 직무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기술과 지식은 차이가 있었다.
의료 코디네이터는 의료 관련 지식과 고객 응대 능력이 강조되었으며, 비서는 경영지원과 문서관리 능력이 중점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비서와 의료서비스 직무의 역량을 비교 분석하여, 두 직무가 상호 보완적으로 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직무 간의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직무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직무역량확대를 위한 인재 육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society needs talented people with innovative and efficient expertise in various fields because of climate change,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n particular in the medical services sector, there is a demand for customized services that consider a human-centered approach and social and ethical diversity. This study analyzed the NCS-based competencies of secretarial and medical service jobs and compared basic skills, abilities, and attitud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job competency analysis based on the NCS National Occup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a practical competency analysis based on employment information in parallel.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edical coordinator job and the assistant job share several common competencies. The results revealed communication, interpersonal, and problem-solving skills to be important for both jobs, and the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job. Medical coordinators emphasized medical knowledge and customer service skills, and secretaries emphasized management support and document management skills. This study compared the competencies of secretaries and medical coordinators, suggesting that the two jobs can be complementar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