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f the Standard Test of Proficiency of Korean (S-TOPI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59(21쪽)
제공처
국제한국어교육 3(2), 39-59.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한국어 화자의 한
국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고부담시험(high stake test)으로서 학업, 비자발급, 고용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본고는 현재 공개되어 있는 자료(시험목적 및 사용처, 등급별 기술, 기출문제,원가수주보고서) 및 기존 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Bachman and Palmer(1996)의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한국어능력시험의 타당도를 검토하였
다. 분석의 대상으로는 시험의 형식 및 시행과정, 이해관계자(stakeholders) 분석, 채점 및 보고 체계, 신뢰도 및 타당도 저해 요인, 선환효과를 아울러 한국어능력시험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시험 설계의 기초가 되는 TLU (Target Language Use) 영역 및 등급간 설정에서부터 신뢰도/타당도 검정에 이르기까지 시험타당도를 저해하는 다양한 문제점이 진단되었으며, 한국어능력시험의 타당도를 검증한 기존 연구들의 방법론적인 한계점 또한 발견되었다.
한국어능력시험의 품질 및 타당도에 대한 논의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지않았으며, 무엇보다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선환효과(washback effect)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논의는 시험자체에 대한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한 엄밀한 양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개인연구자로서는 문항반응을 포
함한 일차 시험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는 현 정책의 한계점에서 기인한부분이 크다. 학술계에 대한 시험데이터 공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논의를 촉발시킬 수 있을 것이며, 결과적으로 육과정 설계 및 교재 개발에도 긍정적인 선환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2), 39-59. TOPIK is aimed to ‘set a right Korean language learning path for overseas Korean and foreigners who do not speak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and promote the use of Korean language1)’. This statement explicitly clarifies that TOPIK is designed to uphold positive washback effects promoting a constructive connection between assessment standards and class instruction. However, the expected positive washback of TOPIK is inherently limited due to the misalignment between target language use
domains and test designs, the lack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he paucity of empirical justification. The public disclosure of TOPIK data including item responses is much needed to initiate the discussion regarding validity
issues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 test to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different stakeholder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