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구병모 소설에 나타나는 생태윤리학적 디스토피아와 돌봄의 윤리 - 단편소설집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2015)을 대상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96(3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구병모 소설의 이채로움은 재난과 폭력의 세계가 생태윤리학적 디스토피아라는 점에서 이해되면서 동시에 그 안에서 돌봄의 가치를 발견하게 된다는 점에 있다. 구병모의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은 특히 생태학적 공포의 발견술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할 만하다. 재난과 폭력의 원인이자 그래서 회복해야 할 가치로서 연결의 감각을 환기하고 있다는 점에 그러하다. 구체적으로 돌봄의 윤리로 집중되는 타자의 관계윤리는 에코페미니즘의 관심과 맞물린다. 폭력과 잘못된 돌봄은 서로 부추기는 관계로서 생태윤리학적 디스토피아를 더욱 강고하게 한다는 것, 방어적 이기심이 팽배해지는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우리 모두는 폭력의 공모자가 될 수 있다는 것, 이러한 생각이 구병모의 세계 인식에 깔려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구병모의 소설의 생태윤리학적 디스토피아는 우리가 사는 세상이 돌봄이 부재하는 무관심의 사회라는 점에 기인한다. 그것은 개인과 개인, 혹은 개인과 사회 사이에 존재하는 효율성의 논리를 깔고 있으며 경쟁적 자기향상의 틀 안에서 추구되는 개인적 주체들을 상정한다. 그럼으로써 무관심한 세상에서 생존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들과 견디기 어려운 집단적 불안을 내장하고 있다. 「파르마코스」, 「식우」, 「덩굴손증후군의 내력」, 이런 일련의 소설에서 구사되는 공포의 발견술은 생태학적 위기에 대응하는 절박한 소설적 과잉진술이라고 간주할 만하다. 이들 소설은 위기가 무반성적으로 가속화되었을 때 우리가 겪을 수 있는, 혹은 지금 경험하고 있지만 과소진술로 은폐되는 폭력과 재난을 환상적 상상력으로 과잉진술하는 것에 성공하고 있다.
구병모의 소설에서 공포의 발견이 유익한 첫 걸음이 되는 것은, 돌봄의 행위 속에 갖추어야 할 근본적이고 깊은 마음을 환기한다는 사실이다. 「이물」, 「어디까지를 묻다」, 「덩굴손 증후군의 내력」은 연결의 감각과 관계 윤리로서 돌봄의 행위를 그려내고 있다. 돌봄의 가능성은 폭력의 세계에서 미약하게 드러나지만 그 계기가 인물들의 내면에서 돌봄의 감각을 강력하게 소생시키고 확장시킨다는 점은 매우 독특한 부분이다. 구병모의 공포의 발견술이 무엇을 부각하고 무엇을 옹호하려는가 하는 방향성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창」의 오지라퍼 등용과 오지라퍼 논쟁은, 방어적 이기심이 팽배한 무관심한 사회에서 양육과 돌봄의 윤리가 사적 영역에 머물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공적 영적으로 확산되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구병모의 소설은 생태학적 위기 사회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 되고 있다.
The uniqueness of Koo Byeong-Mo"s novels lies in that the world of disaster and violence is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eco-ethical dystopia, and at the same time discovering the value of caring within it. Koo Byeong-mo"s “Hope It"s Not Just Me”(『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 is particularly worth illuminat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ecological fear discovery. This is true in that it evokes a sense of connection as a cause of disaster and violence and thus a value to be restored.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ethic of others, which is focused on the ethics of caring, is in line with the interest of ecofeminism. The one thought is that Violence and miscarriage are mutually encouraging relationships that further reinforce the ecoethical dystopia, the other is that we can all become complicit in violence in a neoliberal society where defensive selfishness is prevalent.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these thoughts are rooted in Koo"s perception of the world.
The ecoethical dystopia of Koo"s novel is due to the fact that the world we live in is a society without caring. It lays the logic of efficiency that exist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or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and presupposes individual subjects pursued within the framework of competitive self-improvement. Thereby, surviving in a world of indifference embeds a number of serious problems and an unbearable collective anxiety. The discovery of fear used in these series of novels, such as ‘Pharmakos’(「파르마코스」), ‘Corrosive rain’(「식우」), and ‘History of tendril syndrome’(「덩굴손증후군의 내력」), deserves to be regarded as an urgent novel overstatement in response to an ecological crisis. These novels succeed in overstating the violence and disaster that we may experience when An unrepentant crisis is accelerated, or that we are experiencing now, but are covered up by understatement.
The fact that the discovery of fear in Koo"s novel is a useful first step is the fact that it evokes the fundamental and deep mind that should be equipped in the act of caring. ‘Alien substance’(「이물」), ‘How far’(「어디까지를 묻다」), and ‘History of tendril syndrome’ depict the act of caring as a sense of connection and relational ethics. The possibility of caring is weakly revealed in the world of violence, but the moment powerfully revives and expands the sense of caring within the characters, which is very unique that in the Koo’s novel. Koo"s art of discovering fear clearly shows the direction of what he is trying to emphasize and what he is keeping. The character of Meddler and the Meddler controversy in ‘rear window’(「이창」) paradoxically reveals that in an indifferent society where defensive selfishness prevails, the ethic of nurture and care does not remain in the private realm, but hopes to spread publicly and spiritually in the community. Through this process, Koo"s novels are becoming a response to the ecological crisis societ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7-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 | 1.44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