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 도시침수 방어능력 강화를 위한성과 공유기반 문제 해결형 리빙랩 운영전략 수립 = Establishment of a problem-solving living lab operation strategy based on performance sharing to strengthen local urban flood defense capabilities
기후변화로 인한 지역적 도시침수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적·비구조적 대책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형 성과 공유기반 문제 해결형 리빙랩을 수립하여 개발 기술 및 서비스의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 지자체를 대상으로 AI 기반 정보화, 예측, 위험도 평가, 예·경보 기술 등 서비스 기술을 도출하고, 현장 실증을 통해 도시침수 등 지역 문제에 대응하는 연구 공간으로 리빙랩을 정의하였다. 리빙랩 실증 대상 지역은 지자체별 침수·재해 계획 수립 여부, 피해 이력, 시스템 구축 현황, 위험·취약성, 지자체 관심도 등을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지자체의 관심과 의지가 핵심 기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WOT 분석 및 이해관계자 맵을 활용하여 관계자 간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참여도 제고 및 조정방안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리빙랩 운영의 핵심인 퍼실리테이터 역할과 기능을 정의하고, 도시침수 전문가 Pool 및 산·학·연 협력체계를 통해 연구성과 공유 및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성과를 플랫폼에 반영하고 지자체 확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과확산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Localized urban flooding caused by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a major urban challenge, prompting variou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solution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se solutions by establishing a performance-sharing, problem-solving Living Lab. A Proof-of-Concept Living Lab was implemented in selected municipalities to test AI-based services, including digitalization, prediction, risk assessment, and early warning technologies. Site selection considered flood-related plans, damage history, preventive systems, vulnerability, and municipal commitment — with commitment identified as the key factor. SWOT analysis and stakeholder mapping were conducted to strengthen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The facilitator’s role was defined, and a consultative body of experts from academia, industry, and research was formed. Research outcomes were shared and refined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stakeholder feedback incorporated. Ultimately, an educational program was proposed to support the sustainable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of research outcomes to municipalit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