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Ⅳ) = Proceding report (the seventh excavation) of the Proto-Three Kingdoms burial site at Daho-ri, Changw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91(187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excavating Daho-ri burial site for the seventh time is to clearify the distribution of the tombs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o certify that the tombs of Gaya was in succession made after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s the result, to the north of the site under the sea-level of 10m, no tombs have been found; and to the south, tomb No.64 which is the latest of all tombs excavated has been discovered. In consequence, the distributive characteristic of the tombs which range from the outer field by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igher locations by the Gaya period can be noticed. Most of the tombs that have been unearthed this time have used wooden coffin in the shape of a manger; however, tomb No. 64, though uncertain, shows the evidence of wooden outer coffin and No. 66 a wooden coffin not of manger shape but long hexahedral cube. Among the earthenwares, an earthenware excavated from tomb No.57 which imitated a wooden box is the most important piece, and among the bronze items, a bronze tubular-shaped jade from tomb No.61 and bronze pommel head from No.69 which is similar to the piece excavated in Tshusima island, Japan are the first to be excavated. Noticiable iron products excavated are the pieces similar to the shape of iron weeding hoe from tomb No.66 and bits from tomb No.69 and 70. The bit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s that from Sang-ri site in Taedong-gun, Pyong-annam-do provience. These represent that the horses at the time were used as means of transportation. Excavated lacquerwares are comparably many in number; however, they are very poor in condition even to perform a restoration. Fortunately, a recognizable lacquer ladle was found inside a pot by which we could presume that people of the time started using ladles due to the influence from Lolang or Han Dynasty of China. Other bronze ladles from different sites of the time also certify this hypothesis. Furthermore, an iron ore weighing 6kg has been found together with other burial objects. This signifies the importance of iron in the ancient society. In the future, we shall clearify the chronology of the tombs and rank the tomb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s the result of excavating the site for seven times. When this is accomplished then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the styles and assemblage of the tombs can be performed.
더보기이번에 보고할 제7차 조사는 1992년 10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66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조사는 일차적으로 이 지역 원삼국시대의 목관묘가 분포된 범위를 파악하고자 실시된 것으로서, 기왕의 발굴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유적의 가장자리에 해당한다고 추정되는 지점과 평지의 목관묘에서 구릉상의 가야고분으로 순차적인 조영이 이루어졌는지를 밝히고자 분산된 위치에 발굴지역을 설정하였다. 조사결과, 목관묘 26기(제47호~72호)를 확인하였는데, 이 가운데 6기(제57·65·68·69·70·72호)만 처녀분(處女墳)이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도굴된 것이었다. 분묘의 구조는 관(棺)의 아래쪽 묘광(墓壙) 바닥에 유물매장갱[요갱(要坑)]이 없는 유형이었다. 조사목적에 비추어 평지 쪽으로는 유적의 동북쪽 분포상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산기슭에서는 평지의 목관묘와는 달리 규모가 약간 크고 목곽묘(木槨墓)에 가까운 구조의 분묘 1기가 확인되어 구릉으로 올라가면서 순차적으로 보다 늦은 시기의 무덤들이 조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이번 조사에서 출토유물의 경우 이전의 조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특징들이 나타난 예가 있다. 토기의 경우 64호분의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組合式牛角形把手附壺)는 기형상의 특징이 같은 기종 중에서도 늦은 단계의 것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61호분의 청동제 관옥(管玉)은 국내에서는 처음 출토된 것이며, 69호분의 검파두식(劍把頭飾)도 동일한 것이 쓰시마섬(對馬島)에서 출토된 예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