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놀이의 가치와 활용방안 = Educational Implication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Pla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6-170(25쪽)
제공처
전통놀이는 민속놀이라고도 하며 어린이 스스로 놀이감을 제작 활용함으로써 고도의 창의성을 기를 수 있으며 한 가지 놀이만으로도 놀이가 갖는 지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가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 전통놀이는 어린이가 전통놀이를 하는 중에 자연스럽게 건강 생활 영역 뿐 아니라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등 여러 영역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통합교육 활동으로서 전인적 성장 발달을 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동 교육 측면에서 전통놀이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즐거움을 준다. 아동은 모든 놀이에서 그러했듯이 민속놀이에서 목적물을 맞추고 여럿이 함께 움직이면서 정서를 거침없이 표출한다.
둘째, 건강하게 자라게 한다. 아동들은 온 몸을 움직여 놀면서 신체적으로 성장해 간다.
셋째, 공동체의식을 기른다. 또래들과 어울려 놀이규칙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하고 규칙에 따르는 과정에서 상호 의존성과 존중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깨닫게 될 것이다.
전통놀이문화가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전통 놀이에 대한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언어로 창작하거나 번역되어야 한다. 전통놀이를 통해서 세계 모든 아동들이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정서와 자기성장을 이루는 이니시에이션과 미성숙했던 여주인공이 ‘널뛰기’와 ‘윷놀이’를 통해서 바깥세상을 엿보고, 마침내 내적, 외적 갈등을 겪고 한 개인으로서 사회화 되는 과정을 그린다. 또 ‘연날리기’와 ‘제기차기’를 통해 호연지기와 정당한 스포츠 정신을 기르고, 남성성을 드러내면서도 권위주의적 관점을 해체시키는 소년의 모습은 주인공들의 성장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오늘날 한국의 다문화 사회 문제는 아직도 타문화에 대한 배타성이 존재하고, 특히 타 문화권 아이에 대한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 문제나 편견은 새로운 학교문제로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작가들로 하여금 사라져 가는 한국 전통놀이문화를 재확인케 하고, 그것을 원천 소스로 하여 민족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세계적 보편성을 가진 스토리텔링 창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전통놀이 문화가 구현된 문학작품을 통해서, 아동 청소년 독자들은 타문화도 일차적으로 주류 문화에 동화되기 위한 동질성 확보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동시에 그들만의 고유한 정체성인 차별성도 다양성이란 관점으로 수용해야 함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play is also called folk play, and can foster high level creativity by creating and utilizing play itself, and can include all the intellectual, emotional, social and physical values of play in just one game. In addition, traditional play is not only a healthy living area but also a social life, an expression life, a language life, and an exploratory life while children play traditional game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play in terms of children's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gives pleasure. As in all games, children set their targets at folk games and move together and express their emotions freely.
Second, it makes me grow healthy. Children grow up physically, playing all over the body.
Third, cultivate a sense of community. You will naturally realize the value of interdependence and respect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your thoughts and actions and following the rules to make play rules in harmony with your peers.
For traditional play culture to be made into new cultural content, first of all, interesting storytelling of traditional play must be created or translated into various languages. Through traditional games, the world’s young heroine, who is immature and universal in which all children can empathize beyond the times and space, peeps into the outside world through "nul-jump" and "yut-nori," and finally portrays the process of socializing as an individual after experiencing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lso, the boy's image of fostering a show of good performance, just sports spirit, and dissolving authoritarian views through "Kite Flying" and "Jegi Chagi" is a good example of the growth of the main characters.
Multicultural social issues in Korea today still exist in exclusivity to other cultures, and the issue or prejudice of teenagers especially against children from other cultures is emerging as a new school issue. At this point, writers should reaffirm the fading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and use it as a source so that they can create storytelling with a global universality while having a national cultural identity.
Through literary works embodied in this traditional play culture, children's youth readers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other cultures are also striving to achieve homogeneity to assimilate into mainstream culture, while at the same time accepting their own unique identity, discri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