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삼봉집』 시문학의 ‘은일사상’에 함의된 양가성 연구: 내적 성찰과 실천적 의지의 관점에서 =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the ‘Seclusion Philosophy’ in the Poetry of Sambongjip: From the Perspective of Inner Reflection and Practical Will
저자
김준승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66(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삼봉 정도전의 『삼봉집』에 나타난 은일사상과 애민사상을 중심으로, 두 사상이 지닌 양가적 특성과 상호 보완적 관계를 고찰하였다. 은일사상은 정도전이 자연 속에서 자아를 성찰하고 도덕적 정당성을 추구하며, 세속적 권력과 거리를 두려는 내적 기반을 제공했다. 동시에, 그의 애민사상은 백성에 대한 깊은 애정과 현실적 책임감을 바탕으로, 민본주의(民本主義)적 통치 철학의 실현을 목표로 삼았다.
정도전의 시문학은 이러한 사상적 경향을 문학적 형식으로 표현하며, 자연 찬미를 넘어 도덕적 성찰과 정치적 실천을 융합한 사유를 담고 있다. 특히, 그는 은일사상을 단순한 은둔이 아니라, 도덕적 자아를 유지하며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려는 복합적 태도로 발전시켰다. 이러한 은일사상은 애민사상과 결합하여 이상 사회를 향한 그의 철학적 지향점을 뒷받침하고, 조선 건국이라는 역사적 과업을 수행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우리는 삼봉 정도전의 시문학을 통해 그의 사상과 정치적 비전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며, 현대 사회가 직면한 윤리적, 정치적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통찰과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정도전의 은일사상은 도덕적 성찰과 민중 중심의 실천적 정치가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지 보여주며, 오늘날의 사회적 불평등, 혐오 표현, 정치적 부패와 같은 현대 사회의 도전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 도덕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seclusion philosophy (Eunil Sasang) and the philosophy of loving the people (Aemin Sasang) as depicted in Sambong Jeong Do-jeon’s Sambongjip. The philosophy of seclusion provided Jeong with an inner foundation for self-reflection and moral justification while distancing himself from worldly power. At the same time, his philosophy of loving the people, rooted in profound affection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 populace, aimed at realizing a governance philosophy centered on Minbonjuui(民本主義), or people-based governance.
Jeong Do-jeon’s poetry embodies these philosophical tendencies through literary expression, transcending simple admiration of nature to integrate moral introspection with practical political action. Notably, he developed his seclusion philosophy not as mere withdrawal but as a multifaceted attitude that preserved moral selfhood while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ies. This philosophy, when combined with his love for the people, supported his philosophical aspiration for an ideal society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his historical mission of establishing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provides an integrated analysis of Jeong Do-jeon’s thought and political vision through his literary works. It offers significant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addressing contemporary ethical and political challenges. Jeong’s ideas exemplify how moral introspection and people-centered practical politics can effectively intertwine, serving as a valuable model for modern governanc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