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초연결사회의 지성사적 조망: 근대시민사회와 초연결사회 관련 문제를 중심으로 = An Intellectual History Perspective on Hyper-connected Society: Focusing on Issues Related to Modern Civil Society and Hyper-connected Socie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1-237(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초연결사회의 지성사적 기반과 성격을 근현대 시민사회론의 맥락에서 고찰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도래한 초연결사회는 사물과 사람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소통하는 사회를 의미하며, 이는 기존의 연결사회와는 달리 중앙집중적 구조가 아닌 수평적 네트워크를 특징으로 한다. 본고는 먼저 초연결사회의 발전사적 배경과 전망을 살펴본다. 초연결사회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이 융합되면서 등장했으며, 산업뿐만 아니라 시민사회 구조와 작동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연결사회의 지성사적 배경은 근대 시민사회론과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루소와 마르크스의 사상에 주목하여, 이들이 근대 시민사회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소유와 노동의 객체화, 인간의 소외 문제 등을 분석한다. 두 사상가는 공통적으로 근대 시민사회에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 간의 진정한 연결이 상실되었다고 본다. 나아가 근대 시민사회론보다 초연결사회에 더 근접한 지성사적 기반을 들뢰즈의 수평적이고 탈중심화된 리좀형 모델에서 찾고, 초연결사회에서 국가와 거대자본의 통제에 대한 견제 및 연대참여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초연결사회가 근대 시민사회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형태의 다원적 연결과 소통을 가능하게 할 잠재력이 있음을 제시한다. 그러나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 디지털 격차 등 새로운 문제들에 대한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초연결사회의 긍정적 측면을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ellectual found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and contemporary civil society theory. The hyperconnected society, brought about by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fers to a society where objects and people are closely connecte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nlike previous connected societies, it is characterized by horizontal networks rather than centralized structures. The study first explor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prospects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Emerging from the convergence of key technolog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hyperconnected society is expected to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not only in industry but also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civil society.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can be traced to modern civil society theory and its critical discourse.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 ideas of Rousseau and Marx, analyzing their critiques of modern civil society, including the objectification of ownership and labor, and the alienation of humans. Both thinkers commonly view that genuine connections between humans and nature, humans and humans, and humans and society have been lost in modern civil society. Furthermore, the paper identifies a more relevant intellectual foundation for the hyperconnected society in Deleuze’s horizontal and decentralized rhizome model, rather than in modern civil society theory. It also examines the need for checks against state and large capital control, as well as the necessity of solidarity and participation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hyperconnected society has the potentia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 civil society and enable new forms of pluralistic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However, it also emphasizes the need to address new challenges such as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digital divides. Continuous research and policy efforts are required to maximiz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while minimizing its negative impac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