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도네시아 소수집단 대학살의 영화적 재현과 반향 = 조슈아 오펜하이머의 〈액트 오브 킬링〉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3-129(2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조슈아 오펜하이머가 2012년 제작한 〈액트 오브 킬링〉(The Act of Killing)은 1965~66년 인도네시아에서 벌어진 주로 화교와 노동조합원의 대학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영화제작 방법뿐만 아니라 사회적 영향력 부문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오펜하이머는 대학살이라는 주제의 민감성 그리고 기존 다큐멘터리 제작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방법인 “상상의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고안해냈다. 오펜하이머는 대학살의 기제와 가해자들의 심층 심리를 포착하고 드러내기 위해 ‘연행을 통한 재연’, ‘네이티브 피드백’, ‘즉흥성’, ‘촉발’ 그리고 ‘상호작용적 초현실 촬영방식’을 활용하였다. 그는 이 방법을 통해 억압된 대학살의 진실을 영화로 재현하려고 하였다.
영화는 처음에는 가해자들을 선악의 구도에서 바라보지만, 점차 연행을 통한 재연이 진행되면서 그도 역시 우리와 같은 인간이며, 자신이 도저히 도피할 수 없는 리얼리티와 함께 고통스럽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가해자들도 우리와 같은 인간이며, 우리 안의 어두운 그 무엇을 제거하지 못한다면 이런 일은 사회에서 언제든지 반복될 수 있음도 보여준다.
The Act of Killing, produced by Joshua Oppenheimer in 2012, is a documentary film about the massacres in Indonesia from 1965 to 1966. I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work in the field of film production methodology as well as social and memory research. Oppenheimer recognized the sensitivity of the subject of massacres an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ocumentary production methods and devised a new style of “documentary of Imagination” style. Oppenheimer used ‘reenactment through performance’, ‘native-feedback’, ‘improvisation’, ‘provocation’, and ‘a unique way of shooting to capture and reveal the masquerade of genocide and the deep psychology of the perpetrators. In this way he tried to find answers to the six questions about the massacre.
Oppenheimer has shown the complex thoughts and meanings the perpetrators had about the massacre. He also tells us that the perpetrators are human beings like us, and that they are inevitably suffering with reality that they can not escape. The film shows that such massacres can be repeated at any time in society unless we destroy the good and bad dichotomy of human beings, and we remove anything dark inside of u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7-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아여성연구소 -> 아시아여성연구원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15 | 1.9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