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대의 영혼불멸관 = The Idea of Eternity in the Han Dynas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64(28쪽)
제공처
소장기관
在中國傳統的喪葬禮俗中, 人們的基本信念之一就是 不死其親, 也就是說不把死去的親人當成亡人, 而是把他視作靈魂和肉體仍存的 活人, 在這種 不死其親的觀念支配下, 事死如生的喪葬禮儀便在中國傳統的喪葬禮俗中得到了充分的體現. 漢代喪葬禮大體上繼承了春秋戰國時期的喪葬禮儀制度, 而且趨于隆重化. 漢代地主官僚的喪禮和葬俗, 其中心之一, 是把死人當作生人看待, 卽 『論衡. 薄葬篇』所說的 謂死如生, 所以在墓室的形制和結構上模倣現實生活中的房屋, 盡量將人所用的器具, 物品納入墓中, 甚至將房屋, 田地和家禽, 牧畜之類也制作成模型和偶像, 以供隨葬. 同時地下出土的大量實物亦證實了這一點. 從漢人的陵墓設計意圖來看, 漢墓葬更是充分反映了人們的靈魂不滅觀念. 由大量的文獻和考古資料可看到, 漢人的喪葬禮俗都模倣生前, 把地上建築模倣于地下世界. 漢代帝陵的設計意思也是基于這種傳統的靈魂不滅觀念. 他們堅信人死後靈魂有知, 所以要求死後也能像生時一樣處理政務和飮食起居. 東漢時期, 埋葬制度又出現較多特點. 隨葬品中的陶質模型明器: 樓, 屋, 水田, 水塘, 倉, ??, 井, ??房, 釀造作坊, 猪圈, 羊圈以及猪, 羊, 狗, 鵝, 鴨, 等 家畜, 家禽大量出現, ??外, 家兵俑, 農夫俑, 舞俑, 樂俑, 百戱俑等亦흔盛行. 然而, 模型明器畢竟帶有흔大的局限性, 要想全面揭示地主的生活, 特別是 孝的觀念, 還必須通過壁畵, 畵像石和畵像??的畵面, 才能完整地表現出來. 壁畵, 畵像石, 畵豫??的盛行, 給厚葬的習慣又增添新的內容, 東漢前期開始, 墓內往往出現一種購買??地的券約, 卽所謂 買地券. 墓中的 買地券, 乃是現實生活的反映. 東漢後期又出現了鎭墓券, 타是用朱砂以一種固定形式寫在陶甁上的, 其內容爲除邪????的文告. 鎭墓券的開頭幾乎都寫的是天帝使者, 天帝神師, 這當是太平道方士的自稱. 卽天帝派下來的使者或神師專門執行文告中的指令, 鎭墓券的存在, 從一個側面反映當時太平道在某些地區的流行. 換言之, 凡是太平道流行的地區, 基本就有鎭墓文的發現. 由此可見, 道敎對東漢後期的埋葬習俗産生了極大的影響. 從數千年漫長的中國歷史來看, 厚葬在中國喪葬民俗中基本上据着主導的地位, 左右着喪葬民俗的導向. 厚葬風氣的産生與盛行, 其淵源有兩個方面, 一是靈魂不滅觀念和祖先崇拜, 這種現象和狀況在世界各民族中都普遍存在過: 二是與儒學及統治者提倡重倫理的道德觀念有關, 這種中國特有的儒家的倫理思想在喪葬習俗上的反映便是厚葬. 先秦典籍中已觸及了鬼神的問題, 卽死後人幷未消逝, 其個體的靈魂依然存在, 繼續有種種的需求和作用, 然而這個存在畢竟有別于生時, 由前述可知古人以鬼神稱述死後的存在, 或日鬼, 或日神, 或鬼神竝稱. 聞一多先生認爲鬼神是 生活在一種不同狀態的人, 他和生人同樣是一種物質, 不是一種幻想的存在而這些神鬼仍與人世有着密切的關係. 漢入繼承了商, 周的觀念都認爲鬼神有異于常人的能力能支配生人的吉凶禍福. 天神較公正而人鬼較難??, 生人爲求福避禍, 因而便形成了許多與鬼神有關的習俗. 這許多習俗中,影響後世較大者, 如關落陰(死人附于巫祝之身, 以與陰世家屬相問答的習俗), 人將死往往會看見墓中死人來迎接等等. 這些習俗與說法雖由漢世至今, 有的將近二千年, 有的已超過兩千年. 從流行于漢代民間的種種習慣與信仰看來, 漢代雖然出了不少大學者, 但一般人民仍極迷信于鬼神, 人民的日常生活, 幾乎爲鬼神所左右. 不僅日常生活, 脫離不了鬼神支配, 甚至連生病死亡也與鬼神有關係. 因此患病之人, 常見歸來拘魂, 或墓中祖先來迎, 再者, 漢人對于平素所不常見的事物與現象, 則說是精怪鬼物, 說他們會作崇, 使人防患病. 甚至殺人, 爲要驅逐邪鬼惡物, 因此歲末有大儺. 由上述看來, 漢代民間的一切習俗, 大都霑染了濃厚的鬼神氣息. 鬼神在漢代雖不如先秦權力之大, 但也左右了漢代人民的生活. 秦漢時期傳統的靈魂不威觀念有較大的發展, 這體現在陰陽五行學, 讖緯, 神仙方術等的特別盛行,漢末又在神仙方術的基礎上形成了道敎, 這些都成爲當時厚葬風氣盛行的土壤和基礎. 在這一時期, 宗敎迷信思想渗透到社會的各個方面, 對禪, 求仙, 推災異. 造圖讖成爲統治階級的家常便飯.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