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tenborn-Evjenth 천장관절 가동운동이 천장관절 기능부전 개선에 미치는 효과 = (The)Effect of Kaltenborn-Evjenth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upon improvement of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저자
발행사항
용인 : 용인대학교, 200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 물리치료학과 물리치료학전공 , 2002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512.42 판사항(4)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vi, 48 p. : 삽도 ; 26 cm.
소장기관
요통은 많은 사람들이 흔히 경험하는 증상으로 약 70~80%가 일생 중 적어도 한번은 요통으로 고통받는 일이 있으며,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를 받았던 요통환자들의 80~90%는 통증의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었다고 한다. 요통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특히 천장관절 기능장애가 요통의 한 원인이었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Kaltenborn-Evjenth(K-E) 정형물리치료가 천장관절 기능부전을 원인으로 하는 요통에 대한 치료적 효과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요통을 주소로 하는 환자 중 천장관절 기능부전이 요통의 주원인으로 판명된 환자들 중에서 남·여 각각 10명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K-E 정형물리치료의 천장관절 가동기법을 적용하여 치료하고 대조군은 고전적 물리치료를 실시한 후, 두 치료군 사이의 골반경사각 변화, 천장관절간격 변화, 두 측정기구간의 상관관계, 통증 변화, 성별에 따른 치료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골반경사각 변화에서는 K-E 정형물리치료군은 고전적 물리치료군보다 골반전방경사각, 골반후방경사각, 골반전체경사각 변화에서 각각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05).
천장관절간격 변화에서는 K-E 정형물리치료군과 고전적 물리치료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K-E 정형물리치료군에서 더 효과가 있었다(p < 0.05).
두 측정도구간(BROM Ⅱ, CT) 치료효과에 대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통증 변화에서는 K-E 정형물리치료군과 고전적 물리치료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두 치료군간의 치료효과에서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p > 0.05).
성별에 따른 치료효과에서는 골반경사각변화와 천장관절간격 변화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이것으로 보아 골반경사각 변화와 천장관절간격 변화에서 K-E 정형물리치료가 고전적 물리치료보다 더 효과적인 치료라는 결론을 얻었다.
Many people's low back pain is not at all rare, and the seventy(70) or eighty(80) percentage of them experience low back pain once at least in their life. From patients corresponding to the eighty(80) or ninety(90) percentage of ones who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for their low back pain, could not find the clear cause of their pain.
The cause of low back pain is so various, but its general cause is known as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medial effect of KEOMT(Kaltenborn-Evjenth Orthopaedic Manipulative Therapyon) on low back pain having the cause of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en(10) men and ten(10) women among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hich its main cause is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Conducted KEOMT for experimental group and classical physical therapy for control group. Then, from the two groups, researched the change of pelvic tilt angle and sacroiliac joint interspace, correlation between two measuring tools, the change of pain, and remedial effect according to gender,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garding the change of pelvic tilt angle, compared with classical physical therapy group, KEOMT group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anterior pelvic tilt angle, posterior pelvic tilt angle, and total pelvic tilt angle(p<0.05).
As for the change of sacroiliac joint interspace, both KEOMT group and classical physical therapy on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former group showed better effect than the latter(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wo measuring tools(BROM II, CT) in remedial effect(p>0.05).
Regarding the change of pain, both KEOMT group and classical physical therapy on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remedial effect(p>0.05).
As for remedial effect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change of pelvic tilt angle and the one of sacroiliac joint interspace(p>0.05).
As know from the above results, comes to a conclusion that KEOMT is more effective than classical physical therap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