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결혼생활 불공평성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은퇴준비의 조절효과 검증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17. 2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The) effect of baby boom generation women's married life inequity on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형태사항
vi, 99 p. : 삽화, 표 ; 30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엄명용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75-89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장기화된 노후생활에 있어서 동반자적 배우자 관계가 주목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의 만족스러운 결혼생활로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하지만,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중·노년기 베이비붐 세대의 부부관계 종결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이론적 검토를 통해 남편이 생애사건인 은퇴를 경험하며 아내는 이중적 역할분담과 과도한 가사노동으로 불공평한 결혼생활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사회 교환 이론을 적용하여 본다면, 아내의 불공평한 결혼생활은 비용 증가로 만족스럽지 못한 남편과의 부부관계는 관계의 해체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남편의 은퇴준비 정도는 노년기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노년기 삶에 보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보상이 비용보다 더 큰 경우 만족도가 높아져 지속적인 관계 유지가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 교환 이론을 적용하여 베이비붐 세대 부부 중 아내의 결혼생활 불공평성과 부부관계 만족도 간의 영향에 있어서 남편의 은퇴준비 정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베이비붐 세대 부부의 관계성(relationship)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들과 인구사회학적 질문들을 바탕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유의표집을 통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50플러스 센터, 등산동호회, 여성회관을 통해 이루어졌다. 총 23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20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주요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와 변수 간 상관관계 확인, 다중회귀분석 및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내의 결혼생활 불공평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부관계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의 은퇴준비는 아내의 부부관계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내의 결혼생활 불공평성과 남편의 은퇴준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부부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편의 은퇴준비 정도가 높을 때, 아내의 결혼생활 불공평성이 높을수록 부부관계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 교환 이론을 적용하여 베이비붐 세대 부부의 관계성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아내의 불공평한 결혼생활로 만족스럽지 못한 부부관계에 있어서 충분한 은퇴준비는 이를 완화시키고, 부부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당위성을 확인했다는 점에 함의를 지닌다.
The concept of the lifetime partnership grew stronger between the couples as the lifespan of the elderly extended.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marital life increased, the termination of marriage happens frequently these days. The literature review had been done based on this approach. And the previous studies led to conclusion that many women suffer from the domestic labor and especially the women in the dual-earner couple had double burden between the domestic labor and the working stress. Using the social exchange theory, it implied that the inequity of the marital life increases the costs to the women, and thus enhance the possibility of marital dissolution. However the retirement preparation have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s can rewards the women and enable the persistence of the marriage. In other words, the retirement preparation can infer the continuance of the marital life.
Using the social exchange theory,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husband’ retirement prepa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fe’s married life inequity and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test hypotheses of this study was based on demographic questions and measures in previous studie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y, 2016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23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204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correlation analys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fe's married life inequ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t the level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Baby boom generation husband's retirement prepar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baby boom generation wife at the level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Wife's married life inequity and husband's retirement prepa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retirement preparation provide the buffering effect between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marital inequity on to the marital satisfac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