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대한민국 엘리트의 기원과 계속되는 식민지주의-정종현의 『제국대학의 조센징』을 통해 본 한국 지식계의 ‘변방성’ = Origin of the Korean Elite and Continued Colonialism :Periphery of the Korean Knowledge World as Seen by Jeong, Jong-hyun’s Book, Koreans at the Imperial Univers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57-477(21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대한민국 국가형성기의 주류집단은 식민지 시기 제국대학 출신자였다. 그들은 학계뿐만 아니라 행정부, 사법부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 대부분은 일제 시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해 조선총독부의 행정관료 및 사법 관료로서 식민지 통치에 협력했던 이력을 갖고 있었다. 일본의 국가엘리트 양성을 목표로 했던 제국대학은 역설적으로 신생 대한민국의 국가형성을 주도한 관료 집단 ‘산실’이기도 했다. 정종현의 책 『제국대학의 조센징』(Humanist, 2019)은 해방 이후 헌법 제정을 비롯해 고등교육의 제도화 과정에서 주역을 맡았던 제국대학 출신자들에 대한 ‘집단 전기’를 표방하고 있다. 저자의 표현을 빌자면, 그들은 ‘출세인가, 지사인가’라는 고민과 함께 유학길에 올랐으나, 결국 제국일본의 관료가 되는 ‘출세의 길’로 나아갔다. 이 책의 저자가 ‘출세냐, 지사냐’라는 이분법을 도입한 것은 아마도 제국대학이 선사하는 ‘제국엘리트’라는 정체성과 식민지 조선에서 왔다는 ‘민족의식’ 사이에서 유학생들이 겪었을 고민과 좌절, 그리고 그런 분열의 해결책으로 선택된 ‘실력양성론’이 결국은 제국의 이익에 흡수되는 역설의 구조를 드러내려는 의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출세를 선택한 제국대학 출신자들을 다만 제국에 ‘투항’한 엘리트로 규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불행한 처지에 있는 동포들에 대해 그들이 가졌던 ‘선의’와 ‘책임감’이 좌절되고 변질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지사냐 출세냐’라는 선택이 마치 비슷한 비중의 선택지였던 것처럼 기술하고 있지만, 제국대학 출신자의 절반가량이 식민지 체제의 ‘관료’로 살았다는 점을 생각할 때 이런 가정을 그대로 신뢰하기는 어렵다. 그들의 다수는 유학을 떠나던 시점부터 시인 임화가 ‘지사’의 비유로 들었던 ‘하늘의 별’이 되기보다, 세상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속세의 별’을 등대 삼아 달려갔던 청춘처럼 보인다. 제국대학 출신자의 명맥은 끊어졌지만, 제국대학 출신자들을 우대했던 심리, 즉 ‘참다운 지식은 여기가 아닌 다른 곳에 있다’는 소위 ‘변경인의 심리’는 변함없이 우리 안에 똬리를 틀고 있지 않은가?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근대 한국의 엘리트 집단 형성의 역사를 통해 여전히 우리 안에서 청산되지 못한 ‘식민지주의’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The mainstream groups of the Korean national formation period were those who graduated from Imperial Univers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xecutive and judiciary as well as in academia. Most of them had a history of cooperating in colonial rule as bureaucrats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The Imperial University of Japan, which was a national elite training institution in Japan, simultaneously produced a bureaucracy that led the formation of a new Korea. This book Koreans at the Imperial University attempts to tell the stories of imperial college graduates who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since liberation. According to the authors, they were struggling between "success and independence movement," but eventually chose "the road of success" to become an official of Imperial Japan. This book does not define Imperial University graduates as elites who “throttled” into Empire. The book details the process in which their "goodwill" and "responsibility" were frustrated and altered for their compatriots. However, even if they acknowledge the goodwill of the people of imperial university graduates, it is hard to say that the choice of “independence movement or excuse” was similar to them. In reality about half of those from imperial colleges lived as bureaucrats. The imperial university graduates were cut off, but the so-called "modifier's psychology", "true knowledge is not here," remains in Korean society. In that sense, this book shows the common sense of “colonialism” that has not yet been cleared within us through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elite groups in modern Korea.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3-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KCI등재 |
2020-03-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1 | 2.23 | 0.9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