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대극장 뮤지컬의 제작비 구조와 변화 분석: 2008년~2017년 10년간 공연된 작품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hanging Trends of Production Budget of Large-Theater Musicals in Korea: Based on Musical Productions Presented during the Decade of 2008-2017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11(17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The musical industry in Korea has fallen into a phase of stagnation after reaching around 300 billion KRW-about 267 million USD-worth of the market in 2014. This calls for a study to probe into the causes of stagnation. Although it is a difficult task to tackle and may even be a harder job to teach and learn lessons from such studies, this research attempts to amass a verifiable set of data by analyzing production budgets of Broadway-type of large-theater musicals presented during the most recent decade of 2008-2017. In doing so, this study delves into the changing trends in Korean musical market and hopefully, the implications and outcomes of this research may serve as a reference for more advanced future studies. This research is based on two premises. First, a musical is a mass entertainment product whose success largely relies on tastes of general audience. Second, there is a risk of market failure known as the cost disease. After analyzing the group of one hundred and one of valid data, the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vity of musical production budgets has turned out to be reduced. Second, among budgetary categories, the productivity of actors’ guarantees has declined the most during the timeframe of designated research period. Third, a negative correlation is discovered that when the proportion of actors’ guarantees increases, that of production and creative development costs decreases.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promotion and marketing cost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only with the proportion of actors’ guarantees. Lastly, even though it did not show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proportion of actors’ guarantees and that of creative development costs, the overall rise of costs was discovered in the personnel expenses category.
더보기한국 뮤지컬 시장은 2014년 3천억 원대 시장에 도달한 이후 성장 정체를 겪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 대한 실증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시장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여 향후 더 발전적인 뮤지컬의 제작방향을 교육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시장의 성장과 정체를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공 연된 대극장 뮤지컬들의 예산 자료를 찾아내고 분석하여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뮤지컬 장르가 가지는 ‘대중예술’이며 ‘종합예술’ 상품이라는 특징과 함께 노동집약적 상품으로서 나타나는 ‘비용질병 현상’에 중점을 두어 분석한다. 시장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실제 공연된 101개의 뮤지컬 예산자료를 취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기간 동안 뮤지컬 제작비의 생산성은 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제작비 구성요소 중 생산성이 가장 많이 하락한 것은 배우출연료이고, 총제작비와 배 우출연료의 변화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배우출연료 비율 늘어날 때 프로덕션 비용, 작품개발비 비율은 줄어들어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홍보/마케팅 비용 비율은 배우출연료 비율과 높은 정도 의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다른 요소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배우출연료 비율은 크리 에이티브 비용 비율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KCI후보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1 | 1.115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