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送 日本人妻 問題 硏究 : 그 實態와 意味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blem of Japanese-Korean wives in North Korea : The reality and significance of their situation
저자
발행사항
서울 : 崇實大學校 統一政策大學院, 199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통일정책대학원 , 통일정책학과 , 1999. 8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40.911 판사항(4)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 108p. : 삽도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05-108
소장기관
본 논문은 북송일본인처 문제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 실태와 존재가 내포하는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정부의 「각의료해」에 따라 재일교포의 북송이 결정되었다. 재일교포 북송 과정에서 재일교포의 배우자와 자녀 등 약 6,000명의 일본국적자가 북한에 건너가 정주하게 되었다. 국제적 냉전체제가 무너진 이후에도 「우리식 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을 고집하며 특수한 폐쇄사회를 형성하고 있는 북한 사회에 있어서 6,000명에 달하는 일본인의 존재는 대단한 의미를 갖는다.
이들은 자본주의 시장경제 사회의 일원으로 태어나서 교육을 받고 살다가 남편이나 가족을 따라 북한 사회에 가서 살게 되었는데 2~3년이면 자유롭게 고향방문도 할 수 있다는 말을 믿고 갔다가 40년이 되어가는 현재까지 고국방문의 기회도 한번 없이 안타까운 세월을 보내고 있다. 냉전구조가 국가발전의 하나의 큰 요소가 되었던 일본에 있어서 드문 냉전의 희생물적인 존재인 것이다.
북한은 이들을 공민으로 간주하고 일본이 간섭할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일본정부는 일본에 사는 가족들의 요청을 받아 「국민보호 의무」 차원에서 북한 정부에게 일시귀국 허용을 요구해 왔다. 「인도주의」라는 명목 아래 진행됐던 「북송」이 100% 정치의 결과였던 것과 마찬가지로「북송일본인처 일시귀국」 역시 인도주의 차원이 아닌 정치협상 카드로 이용되었다. 그 결과 1997년과 1998년에 걸쳐, 1진과 2진 모두 27명의 일본인처가 일시귀국을 하였으나 3진으로 이어지지 못한 채 중단되고 말았다.
21세기를 눈앞에 둔 지금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북한과 일본의 관계가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볼 때 북한과 일본 관계를 재조명 해 보고 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양국의 미래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도 필수적이라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북송일본인처라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과 냉전이 만들어낸 특수한 존재를 둘러싼 여러 가지 정황을 고찰함으로써 북·일 관계의 특징을 찾아내는데 역점을 두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overall status of resident Japanese-North Korean wives issue and analyze the reality and significance of there situ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decided to permit North Korean repatriation to the North at Cabinet council. During this process estimated 6,000 Japanese spouses and children went over to North Korea and became North Korean residents. Even after the Cold War Era ended officially, North Korea still persists Their Own Socialism and Juche Ideology in tightly closed society. The Japanese residents there over 6,000 have very significant meanings to North Korea.
Resident Japanese-North Koreans were born members of the capitalism, and were educated in such a way. They believed, at first, that they could return to Japan after two or three years of resident life as North Korean. Unfortunately they have been prohibited from returning to Japan for more than 40 years. Japan has benefited greatly by the global dynamics of Cold War and utilized it to enhance its development. Nevertheless, the issue of resident Japanese-North Korean wives has become a negative byproduct and sacrificial lamb of Cold War.
North Korea has insisted that this is the domestic matter and should not be subject to Japanese government unwelcome intervention.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took consideration of numerous requests made by those Japanese wives families. Furthermor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its citizens Japanese government has made the strenuous efforts to allow those women to visit their homeland once again. Just like the repatriation that occurred under the name of humanitarianism there was a 100 percent political gesture, the visit of selected Japanese-North Korean wives were politically motivated and used as a negotiation card. As the result total 27 Japanese-North Korean wives were able to visit Japan in 1997 and 1998. Unfortunately, the third visit was suspended before it took place.
As 21st century approaches very rapidly, the impact of Japan-North Korean relations to peace and stability of Northest Asia is of great significance. Therefore,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Japan and North Korea and of its essence is very important.
This essay examines the issue of resident Japanese-North Korean wives that is a byproduct of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the Cold War. The careful study of this important issue shows us the essence of Japan-North Korean relation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