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SCIE
원저 : Adipose Differentiation-Related Protein (ADRP)이 골격근의 포도당 수송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Adipose Differentiation-Related Protein (ADRP) on Glucose Uptake of Skeletal Muscle
저자
구윤희 ( Yun Hyi Ku ) ; 김민 ( Min Kim ) ; 김세나 ( Se Na Kim ) ; 박호선 ( Ho Seon Park ) ; 김한종 ( Han Jong Kim ) ; 이인규 ( In Kyu Lee ) ; 신동훈 ( Dong Hoon Shin ) ; 정성수 ( Sung Soo Chung ) ; 박상규 ( Sang Gyu Park ) ; 조영민 ( Young Min Cho ) ; 이홍규 ( Hong Kyu Lee ) ; 박경수 ( Kyo
발행기관
학술지명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3.46
등재정보
SCOPUS,KCI등재,SCIE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6-214(9쪽)
제공처
중단사유
※ 발행기관의 정책으로 인하여 개인 판매가 중단된 논문입니다. 구독기관 이용자는 [
소장기관
연구배경: 골격근은 양적으로 인슐린저항성의 가장 중요한 조직이다. 최근의 연구결과들은 골격근 내의 지질 축적에 따라 인슐린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골격근의 지질수송, 저장 및 대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이 인슐린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Adipose differentiation-related protein (ADRP)는 lipid droplet의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하나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에 의해 조절되며 인슐린저항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주목 받고 있으나 골격근에서 ADRP가 포도당 대사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db/db 마우스의 골격근에서 ADRP의 발현을 조사하고 PPARγ agonist투여 후의 ADRP의 발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사람의 골격근 세포를 배양하여 PPARγ agonist 혹은 고지방배지를 처리하였을 때 ADRP의 발현을 조사하고, siRNA를 이용하여 ADRP를 knockdown 혹은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과발현 시킨 후 포도당 수송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db/db 마우스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골격근에서 ADRP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으며, PPARγ agonist를 처리하면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사람의 근육세포에서도 PPARγ agonist 혹은 고지방배지 처리에 의해 ADRP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ADRP를 knockdown 시키면 기저 및 인슐린 자극에 의한 포도당 수송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과발현 시키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ADRP는 고지방에 노출된 경우 혹은 PPARγ agonist에 의해 골격근에서 발현이 증가되며, 증가된 ADRP는 골격근으로의 포도당 수송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골격근에서 PPARγ 활성화가 직접적으로 인슐린감수성을 개선시키는 한 가지 기전으로 생각되며, 또한 세포 내 지방 축적 시 인슐린저항성을 유도하는데, 이때 ADRP가 세포 내 지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Background: Skeletal muscle is the most important tissue contributing to insulin resistance.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accumulation of intramyocellular lipid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Thus, proteins involved in lipid transport, storage and metabolism might also be involved in insulin action in skeletal muscle. Adipose differentiation-related protein (ADRP), which is localized at the surface of lipid droplets, is known to be regulated by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ADRP plays a role in regulating glucose uptake and insulin action in skeletal muscle. Methods: ADRP expression in skeletal muscle was measured by RT-PCR and western blot in db/db mice with and without PPARγ agonist. The effect of PPARγ agonist or high lipid concentration (0.4% intralipos) on ADRP expression was also obtained in cultured human skeletal muscle cells. Glucose uptake was measured when ADRP was down-regulated with siRNA or when ADRP was overexpressed with adenovirus. Results: ADRP expression increased in the skeletal muscle of db/db mice in comparison with normal controls and tended to increase with the treatment of PPARγ agonist. In cultured human skeletal muscle cells, the treatment of PPARγ agonist or high lipid concentration increased ADRP expression. siADRP treatment decreased both basal and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whereas ADRP overexpression increased glucose uptake in cultured human skeletal muscle cells. Conclusion: ADRP expression in skeletal muscle is increased by PPARγ agonist or exposure to high lipid concentration. In these conditions, increased ADRP contributed to increase glucose up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sulin-sensitizing effects of PPARγ are at least partially achieved by the increase of ADRP expression, and ADRP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intramyocellular lipid-induced insulin resistance. (Korean Diabetes J 33:206-214, 2009)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