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학 : 연지사(蓮池寺)터의 위치 추정 =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Yonjisa(蓮池寺) Sit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8-79(32쪽)
제공처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쓰루가시(敦賀市) 죠구(常宮)神社의 한 창고에 보관 되어 있는 蓮池寺鍾은 우리나라의 종이라는 것은 일본 현지에서도 인정되고 있지만, 연지사가 구체적으로 어느 지점에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은 시원하게 풀리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상의 기록이나 명문(銘文)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종의 명문에 나오는 ‘청주(菁州)’라는 지역 명칭으로 미루어, 사찰이 진주(晉州) 부근의 어디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되기는 하지만, 연지사가 위치했던 구체적 지점은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지사의 위치를 밝히는 데는 간접적인 추적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필자는 우선 ‘연지사’라는 사찰 이름에서 이 사찰이 연못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아, 사찰 근처에 연못이 있는 곳을 추적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동시에 연지사종 명문 앞에 붙어 있는 ‘청주’라는 지역의 의미를 분석하여 연지사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추정하였다. 연지사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될 수 있는 지점은 여러 곳이 있지만, 필자는 이들을 살펴보면서 최종적으로 이 사찰이 진주 시가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연못의 위치나 문헌 자료를 토대로 검토해 보면, 이 사찰은 진주 시가지 내에서도 진주의료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더보기The Yonjisa Bell(蓮池寺鍾) kept in Thurugashi Jokusinsa(敦賀市常宮神社) in Hugui hyun(福井縣), Japan, is recognized as Korean bell in Japan, but where Yonjisa was has been a mystery. It`s because the literature in books or document relic on stones or metals related to it has not been discovered yet. Guessing from the name of the location, ‘Chungju(菁州)’ in documents written in the Bell, the location of the temple might have been in the area of Jinju(晉州), but the specific location where Yonjisa was has not been found yet. Therefore, indirect tracing method was required to discover the location of Yonjisa. I used the method to trace the place where there was a pond around the temple. At the same time, analyzing the meaning of ‘Chungju’ written in the front of the document in the Bell, I guessed the possible place where Yonjisa might have been. There are several points guessed as the place where Yonjisa might have been, but I finally assumed Yonjisa might have been in the area of Jinju, investigating these places. Examining the location of the pond or literatures, the temple must have been around JInju Medical center in the downtown of Jinsu.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