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법규개념과 행정규칙 - 목촌 김도창 박사의 학문세계 및 이론체계를 중심으로 - = Regulation Concept and Administrative Rules - Focusing on Academic World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Mokchon Dr. Dochang Kim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3-426(54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소장기관
The academic framework of administrative law of Mokchon Dr. Dochang Kim, a forerunner and practical theoretician of administrative law in Korea, remains a monument to the 70 years’ history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So, it is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point which those who leave the long journey of administrative law in Korea have to go through and reach.
First of all, the academic framework and value of Dr. Dochang Kim can be summarized as follow. He was (1) a noble scholar and practical theoretician representing the Korean public law circle, (2) a forerunner making every effor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Korean public law and form the systems cross-linking theories and practices of public law, and (3) a lawyer who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Korean legal cultures through cooperative partnership. In addition, his administrative law was oriented to (1) realizing and embodying the values of the constitutional law, (2) institutionalizing liberal democracy and legalism, and (3) avoiding uncritical importation of foreign laws and pursuing moderate comparative legal methodology.
Besides, reviewing the core subjects of this study, formation of Regulation concepts and theories of administrative rules of Dr. Kim, this study also identified (1)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2) the basic viewpoint of the realities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legal systems, (3) fundamental structures of Dr. Kim’s Regulation concepts and theories of administrative rules, (4) academic debates between Dr. Dochang Kim and Professor Namjin Kim, and (5) outcomes and tasks of Dr. Kim’s Regulation concepts and theories of administrative rules.
In conclusion, the challenges of the Korean Regulation concepts and theories of administrative rules shall be overcome through incessant efforts to find solutions to key issues around existing academic debates on the basis of academic outcomes achieved by Dr. Dochnag Kim and many other scholars since the 1980s, not through uncritical importation of foreign laws. In addition, in order to induce administrative cases of laws, orders and administrative rules in desirable ways, it is absolutely required to establish independent theories suitable for our constitutional law and positive law system. It is the way to inherit the administrative law of Mokchon Dr. Dochang Kim.
한국 행정법학의 선각자이며 실천적 이론가인 목촌 김도창 박사의 행정법학은 한국행정법학 70년사에 불후의 업적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이 땅에서 행정법학이라는 머나먼 길을 떠나는 자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출발점이자 넘어야 할 목표점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논의의 진행은 먼저 김도창 박사의 학문세계와 가치관(II)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목촌 김도창 박사는 1. 대인풍의 학자로서 한국공법학계의 대표적인 실천적 이론가 2. 한국공법학의 정체성 확립과 이론과 실무의 가교 시스템을 형성하는데 국궁진력(鞠躬盡力)한 선구자 3. 공동적 협력 작업을 통한 한국의 법률문화의 향상에 공헌한 법률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아울러 목촌 김도창 박사 행정법학의 지향점은 1. 헌법의 가치를 실현하는 구체화법 2.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제도화 3. 외국법학의 무비판적 수입 지양과 중도적 비교법적 방법론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핵심적 연구대상인 목촌 김도창 박사의 법규개념과 행정규칙론의 형성(III)을 살펴보면서 1. 논의의 출발점 2. 한국의 행정입법과 법제의 현실에 대한 기본시각 3. 목촌 김도창 박사의 법규개념과 행정규칙론의 기본구조 4. 목촌 김도창 박사와 김남진 교수와의 학문적 논쟁 5. 목촌 김도창 박사의 법규개념과 행정규칙론의 성과와 과제를 검토하였다.
우리의 법규개념과 행정규칙론의 앞으로의 과제는 목촌 김도창 박사의 연구성과를 비롯하여 1980년대 이후 다수 학자들의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외국이론의 무비판적 수입과 소개를 넘어서서 기존의 학문적 논의과정에서 나타난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아내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나가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법규명령과 행정규칙에 관한 행정판례의 방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우리 헌법과 실정법 체계에 맞는 독자적인 이론을 정립하는 것이 목촌 김도창 박사의 행정법학을 계승하는 길이라고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6 | 1.025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