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드론을 이용한 불법행위의 법적 개선방안 - 항공안전법 개정 방향을 중심으로 - = Legally Responding to Illegal use of Drones - Legal Discourses on Revision of Aviation Safety Act in South Korea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항공경영학회지(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41(19쪽)
KCI 피인용횟수
6
DOI식별코드
제공처
A drone has appeared as one of the core industrial items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discourses and has rapidly begun to be utilized in various sectors in society along with developing AI (artificial intelligence), AV(audio-video) and wireless IT technologies. And it is predicted such a developing Drone technology would make more popular drone usage in our daily lives. At the same time, are being increased risks of illegal drone usage for the purpose of criminal or terrorist activities. This worry was in real at Gatwick Airport in the UK on 19 December 2018, which a drone flight in the runway area of the airport caused stopping all air flights’ landing and taking off and about 140,000 passengers’ flights were delayed for several hours.
Although drone usages already have been expanding to non-military activities, including surveillance works by public authorities and delivery services by private courier companies, both current international standards prepared by the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and national legislation in Korea, which follows international standards (the SARPs of the ICAO), do not seem to fully regulate such expanding various usages of drones in various social sectors. Because both legal systems don’t focus on regulating new types of criminal offenses by using drones but mainly target on guaranteeing navigational safety of drones.
Regarding the increasing number of alleged illegal acts by using drones, including an invasion of privacy, a threat to public facilities and airports and various types of infringement, the current national legal system in Korea on aviation security and safety should be revised to respond effectively such alleged infringements and to prepare clear and consistent legal grounds on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m.
드론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 적용되는 분야로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 사회의 각 분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 기술의 급진전은 전 세계인들의 삶에 커다란 변화를일으키며 우리 앞에 한층 더 가까이 다가왔다. 반면에 드론 기술의 발전은 항공안전과 보안의 측면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우려했던 대로 범죄나 테러행위의 직․간접적 위협수단으로 등장하고 있다. 지난2018년 12월 19일 저녁 영국 개트윅 공항에 정체불명의 드론이 활주로에 나타나 항공기 이․착륙이차질을 빚으며 무려 14만여 명의 승객이 공항에 발이 묶이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제 드론은과거 군사용 분야를 넘어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소방․방재․안전, 경찰의 교통정보 수집 및 단속, 실종자 수색 분야와 택배 배달 등으로 지속적 확장 추세에 있다. 이러한 드론의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발전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나 국내법은 이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항공안전법은국제민간항공협약과 그 부속서에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드론의 안전한 항행을 위한 방법을 정하고 있다. 그러나 항공안전법은 대부분 안전한 항행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불법 비행을 통한새로운 범죄나 대테러 측면의 대응규정은 상당히 미비하다. 현재 경찰의 치안현장에서는 드론을 이용하여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위, 공․항만 등 국가 중요시설이나 항공기에 대한 위협행위, 다중운집 시설이나 장소에 대한 위해행위 등 다양한 불법 형태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드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범죄행위를 예방하고 경찰 본연의 업무인 국민 보호와 공공안전의 확보라는 관점에서 드론을 이용한 범죄의 대응을 위한 항공안전법과 관련 규정의 미비점을 조속히 논의 검토하고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8 | 1.4 | 1.815 | 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