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走馬樓 吳簡을 통해 본 六朝時代 ‘村’의 기원에 대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5-295(31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六朝시대에 등장한 자연촌락으로서의 村의 기원을 기존 문헌자료만이 아니라 최근 長沙 走馬樓에서 출토된 吳簡에 대한 연구 분야 중 ‘丘’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그 성격을 분명히 하고, 村과의 유사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그 결과 丘는 규모가 里와 비슷하거나 약간 컸을 가능성이 있지만 鄕보다는 작은 자연취락이었고, 도시에서 떨어진 田野 특히 丘陵지대에 두어진 농경지를 포함한 民戶의 거주지이기도 하였다. 丘는 村은 이처럼 규모, 田地와 거주지가 포함된 기능, 자연촌락적 성격에서 매우 유사하다. 다만 村의 분포는 거의 전국적이지만 丘는 현재까지는 孫吳 통치시기 長沙郡 臨湘縣 부근에서만 발견된다. 丘는 방어설비를 갖추지 않은 듯이 보이지만 村은 자위적인 방어기능이 포함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차이는 있었던 것 같다. 丘는 또한 聚 또는 塢壁과 비슷하지만 군사적인 방어적 성격의 강약이나 규모면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塢壁도 분포가 지역적 한계가 있었던 반해 村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西晉 이후 군사적인 수요가 강했던 華北지역에서는 豪强이나 兵士가 주력을 이루는 塢壁이 활발하게 세워졌고,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家族이나 鄕里의 인사들이 중심이 된 塢壁이 주로 성립되었다. 이 두 유형의 塢壁은 규모면에서나 군사적 기능의 수요에서 차이가 있었고, 후자 유형의 塢壁은 방어시설이 빈약한 丘나 聚의 형태와 많이 닮았다.결국 後漢 이래 鄕里共同體의 약화와 전란의 피해에 따라 농민들은 都市를 벗어나 田野로 나아가 집단적으로 거주하면서 集落을 형성하였는데, 지역적인 차이 와 군사적 수요에 따라 그 규모나 성격에 차이가 있었지만 다양한 자연 집락이 형태와 지역적 성격에 따라 聚, 邨, 村塢, 村堡, 廬舍 등으로 불렸다. 이들 자연촌락이 국가의 말단 행정조직에 편입되면서 통일적인 용어를 필요로 하게 될 때 대표 호칭으로 사용된 것이 “村”이었다. 丘는 이런 다양한 자연촌락 중의 하나였다.
더보기最近在长沙走马楼出土三国吴简以来, 一些学者对其中关於‘里’与‘丘’的资料进行了多角的探索,取得一定进展, 而且深入了对于‘里’与‘丘’的职能争论. 本文从走马楼吴简概略地检讨了围绕‘里’与‘丘’的争论的关键所在, 继而仔细分析了‘里’与‘丘’、‘乡里’与‘乡丘’之類似点和差别点. 然後进行了比较丘与六朝时期村的形态和职能, 发现了几个值得思考的一些问题.首先需要指出的是丘与里的规模竝无太大区别, 互不统属, 竝从属於乡. 然丘为各种赋税徵收的单位, 里为登录户口(傅籍)的单位, 所以兩者是不同系统的职能单位.竝且里为人为行政区划, 丘为离都市自然聚落, 包括耕作地丘陵上造成的居住聚落.因此丘似乎六朝时期的自然村落-村. 但是村分布了华北和江南, 丘至今只发现了孙吴统治下的长沙郡臨湘县一带. 还有村大体保有了各种自卫的防御设备, 丘不能證明有没有防御设备, 所以丘与村可能一些有差.其次丘似乎聚和坞壁以自然的农民聚落, 可是聚和坞壁的规模和分布范围不一定,竝不具备行政职能. 但为家族、乡里中心的坞壁是比较的小规模, 而且不太建设了防御设备, 由此可见, 这样的坞壁与丘职能、规模上没有什么差别.总之, 从东汉中叶以後因不断的战乱乡里共同体遭受严重破坏, 农民离开都市在田野形成聚落, 集团的居住. 六朝时期的自然村落比如丘、聚、村、村坞、村堡、庐舍出现了, 但自然村落编成最下层行政单位时, 以‘村’为代表称号. 所以丘也可能包括六朝时期村的职能和范围.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