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노년소설에 형상화된 노년 여성의 자아 정체감 -2000~2020년 계간 문예지 3종의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Representations of self-identity in aging women in Korean novels about old age -Focusing on works recorded in three literary magazines from 2000 to 2020-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9-212(2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As average life expectancy continues to increase, old age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not only in our society at large, but in literature as well. In particular, older women may face double discrimination in today’s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presentation of ‘old women’ in our society through studying the representation of old and aging women in old-age novels using an intersectional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the sense of self-identity shared by aging women found in the 15 old-age novels included in the quarterly literary magazines Munhak Dongnae, Literature and Society, and Creation and Criticism from 2000 to 2020. Through this study, two aspects of self-identity could be confirmed. One aspect is the sense of extinction felt as a dying person and the sense of connection to family as a response and relief to it. The other aspect is a sense of shame and guilt, which are usually directly related to family and sometimes directly to society.
These feelings, deeply held by many of the older women in the works, are ultimately based on the otherization of those who do not fit the ideal of 'eternal youth', which has been increasingly strongly pursued since modern times, in addition to the male-centered view of society that humans have long pursued. In an era where eternally young and capable virtual humans are replacing biological humans in more and more fields, the number of biological humans who can match the “eternal youth” we seek will be fewer and fewer each day. This is why we need to look back at the living conditions of those who our society devalues or shifts responsibility to, from an ethical level as well as a practical level.
평균 수명이 점점 더 길어지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노년은 문학에서도 의미 있는 주제이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노년 여성은 이중의 차별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노년소설에 형상화된 노년 표상에 대한 연구를 여성으로 한정하는 상호교차적 접근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구성한 ‘노년 여성’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계간 문예지 『문학동네』, 『문학과사회』, 『창작과비평』에 수록된 노년소설 열다섯 편을 대상으로 작품 속 노년 여성들이 공유하는 자아 정체감을 탐구했다. 이를 통해 크게 두 측면의 자아 정체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측면은 죽어가는 자로서 느끼는 소멸감과 이에 대한 반응이자 위안으로서 가족에게 느끼는 유대감이다. 다른 측면은 대개는 가족과 직접 연관되어 있고 더러는 사회와 직접 연관되어 있는 수치심과 자책감이다.
작품 속 노년 여성 다수가 깊이 품고 있는 이 감정들은 궁극적으로, 인간이 오랫동안 추구해온 남성 중심 사회의 관점에 더하여 근대 이후 점점 더 강하게 추구되는 ‘영원한 청년’의 이상에 부합하지 않는 이들에 대한 타자화에 기반한다. 영원히 젊고 유능한 가상 인간이 생물학적 인간을 점점 더 많은 분야에서 대체하는 시대에 우리가 추구하는 ‘영원한 청년’에 부합할 수 있는 생물학적 인간은 나날이 줄어들 것이다. 윤리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적 차원에서, 우리 사회가 혐오하거나 책임을 전가하는 이들이 처한 삶의 조건을 되돌아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8 | 1.285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