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관한 인식조사연구 – 서울 · 경기 치매안심센터 실무자를 중심으로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2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42(1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서울 · 경기지역 치매안심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미술치료 및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미술치료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기대치, 미술치료사에 대한 자질, 미술치료 진행 시 고려 사항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매안심센터 실무자의 미술치료 만족도는 자발성, 생활개선, 이해도, 치매 예방 및 증상 지연의 효과성 부분에서 높았으며, 미술치료의 지속적 운영을 원하고 있었다. 참여자 증가 이유는 흥미로움, 사회적 관계, 이전 이용자의 긍정적 평가 등 이었으며, 감소 이유는 미술 활동에 대한 부담, 흥미를 느끼지 못함, 이용자의 건강상 어려움, 다른 프로그램으로 이동 순 이였다. 또한 실무자들의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치는 자기표현 향상, 긍정적 정서 촉진, 소근육 운동 향상, 문제행동 감소 등으로, 인지기능 강화 측면보다는 정서적 측면의 강화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정서적인 치료로 인식하고 있음을 유추하게 한다. 또한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에서는 기대 학력으로 학사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보다는 임상경험과 공감 능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진행 시 고려사항에서는 대상별 특성화된 프로그램 과 다양한 매체사용을 들었다. 본 연구는 빠르게 진행되는 한국의 고령화에 치매안심센터의 역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치매안심센터 내 실무자를 대상으로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 분석함으로 써 치매안심센터의 미술치료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This study researched the perception of art therapists and art therapy among practitioners at dementia relief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art therapy at dementia care centers based on the research data. This study used an online survey method, and the content of the the survey was satisfaction and expected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qualities of being an art therapist, and consid erations to take while conducting art therap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 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tisfaction level of art therapy among dementia relief center practitioners was high in terms of spontanei ty, improvement in life,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in preventing dementia and delaying symptoms, which in turn kept subjects hoping to continue the art therapy. The reasons for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were interests, social relations, and positive evaluation from previous users, while the reasons for the decrea se in participation were the burden of art activities, lack of interest, poor health, and moving on to other programs. In addition, practitioners’ expect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were higher in emotiona l aspects than in terms of strengthening cognitive function, as they improved self-expression, promoted positive emotions, improved fine motor skills, and reduced problematic behaviors. These results infer that art therapy is recognized as an emotional treatment. In addition, therapists perceived that the bachelor's degree was the highest in terms of expected academic background, and clinical experience and empathy were more important than academic background. Considerations to take while conducting art therapy include d specialized programs and the use of various media for each subj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art therapy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by conducting and analyzing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and art therapists for practitioners in the Dementia Relief Center at a time when the role of the Dementia Relief Center is increasing in Korea's rapidly progressing aging populati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