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라 불교문학에서 기원(祈願)과 회향(廻向)의 문제 = Prayer and parinamana in Silla Buddhist literature — centered on the belief of Guanyin in Baekhwadoryangbalwonmun and Docheonsugwaneumga
저자
서철원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9-124(2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I would like to re-interpret the prayer of opening the eyes of the author of the Hyangga Docheonsugwaneumga in light of the virtue of parinaamana as a practice of mercy in Gwaneum faith. The clue will be the Baekhwadoryangbalwonmun and related tales that Uisang met Avalokitesvara. The costume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unding narrative of each Gwaneum and Hwaeom Doryang, such as Naksansa Temple and Buseoksa Temple, to the objects of the native faith called dragons in the East Sea. Here, the idea that power is given to the place where the bamboo rises also expanded to the scope of music and literature through the Manpasic narrative. Through the role of Gwaneum and related elements, it was intended to have a wide influence on various practical elements of Silla culture. In Baekhwadoryangbalwonmun, a speaker who faces Gwaneum's mirror and finally escapes his weakness appears. This corresponds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speaker facing Gwaneum's painting in Docheonsugwaneumga is relieved of the blind state. Here, the thousand hands and eyes were intended to save the people, and 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repeatedly in the text and notes that the Bodhisattva of Gwaneum first originated and all the people headed toward each other. In records and praise related to Docheonsugwaneumga, the situation of 'a 5-year-old child blind' was regarded as a religious metaphor and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 were noted. Thus, I was able to recall the step-by-step growth process and a wide range of practices ranging from obscurity, brightness, and enlightenment. This is an interpretation that can be sufficiently expanded without denying the primary role of this myth of curing diseases. Docheonsugwaneumga also has a child's way of speaking and thinking. On the one hand, it is seen as a grouch, but he also prayed that he wanted to grow into a symbol of mercy comparable to that of Avalokitesvara by gaining the eyes of Avalokitesvara and the practical solemnity of mercy that cannot be missed by a single person.
더보기향가 <도천수관음가>의 작가가 품었던 ‘희명(希明)’의 기원(祈願)을, 관음신앙에서 자비의 실천으로서 회향(廻向: pariṇāmana)이라는 덕목에 비추어 다시 해석하고자 한다. 의상이 관음보살의 진신(眞身)을 만날 때 이루어졌다는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과 관련 설화가 그 단서가 될 것이다. 의상은 동해의 용이라는 토속 신앙의 대상에게 낙산사, 부석사 등 각각의 관음, 화엄 도량의 창건 설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기기도 했다. 여기서 말미암은 대나무 솟아난 자리에 권능이 부여된다는 발상 역시 만파식적 설화를 통해 음악, 문학의 범위로 확장되어 갔다. 이렇게 관음의 역할과 관련 요소를 통해 신라 문화의 여러 실천적 요소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고자 했다. 의상의 「백화도량발원문」에는 관음경(觀音鏡)을 마주하며 자신의 유루(有漏)함을 비로소 벗어나는 화자가 등장한다. 이는 <도천수관음가>에서 관음상(觀音像)을 마주한 화자가 눈멂 상태를 구제받는 정황과 대응한다. 여기서 ‘천수천안(千手千眼)’의 형상은 중생구제를 위한 것이었으며, 특히 관음보살이 먼저 발원하고 모든 중생이 서로를 향해 회향하는 모습이 본문과 주석에서 거듭 강조되었다. <도천수관음가> 관련 기록과 찬시에서 ‘5살 아이가 눈이 멀었다.’라는 상황을 종교적 비유로 간주하고 발원문의 내용에 유의하였다. 그리하여 무명과 희명, 득명에 이르는 단계적 성장 과정과 폭넓은 범위의 실천을 떠올릴 수 있었다. 이는 치병(治病)이라는 이 설화의 1차적 모티프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확장이 가능한 해석이다. <도천수관음가>는 어린이의 말투와 발상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투정처럼 비치기도 하지만, 단 한 사람도 놓칠 수 없는 자비의 실천적 엄숙함, 그리고 관음보살의 눈을 얻어 자신이 관음보살에 비견될 만한 자비의 상징으로 성장하고 싶다고 기원하기도 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0-03-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935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