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비교 – 처벌을 중심으로 – = A Comparison of the Punishment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Act on the Punishment of Severe Accident
저자
박채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3-133(31쪽)
제공처
The right to work in a safe environment and the right to work fully without physical damage are fundamental rights given to human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plays a role as a legal system to specifically realize these right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stipulates safety and health measures obligations, and stipulates various forms of punishment in case of violation. Criminal sanctions are a characteristic means of this law. Howev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has a practical problem that cannot directly punish the company itself and the individual business owners or managers of corporations as the subject of punishment for violating safety and health measures obligations.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vere Accident was enacted to fill the gap in such punishment. Due to the nature of domestic criminal law, it is still difficult to directly punish corporations. Therefore, by punishing the individual business owners or managers of corporations, it is intended to indirectly interrogate the crime of the corporation, and in addition, to highlight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business owners or managers of corporations. The sanctions are imposed as a criminal punishment, mainly evaluated as a harsh punishment with a lower limit of imprisonment. In addition, the evaluation that it is a law that may violate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This article aims to highligh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ws by comparing the forms of punishment betwee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vere Accident, and to briefly explain the roles of the two law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discuss a new discussion called the ‘Labor Criminal Act’ on how the law can interact harmoniously by preventing labor accidents in advance and holding strict responsibility for them after death.
더보기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권리, 신체의 손상 없이 온전하게 일할 권리는 인간에게 주어진 기본적인 권리이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이러한 권리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법제도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안전 및 보건 조치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위반 시 다양한 처벌을 예정하고 있다. 형사적 제재는 이 법의 특징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산업안전보건법은 안전 및 보건 조치 의무 위반의 처벌 대상으로 법인 자체, 그리고 대표이사를 직접적으로 처벌할 수 없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이와 같은 처벌의 공백을 메꾸기 위해 제정된 법이다. 국내 형법의 특성으로 인해 여전히 법인을 직접 처벌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중대재해처벌법은 경영책임자등을 처벌함으로써 법인을 죄를 우회적으로나마 묻고, 경영책임자등의 책임을 부각시키려는 것이다. 형사처벌로써 그 제재를 가하고 있으나 징역형의 하한이 설정된 가혹한 형벌이라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죄형법정주의의 위반 소지가 있는 법이라는 평가 또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글은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의 처벌의 형태를 비교해봄으로써 두 법의 차이점을 부각시키고, 두 법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또한, 끊임없이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후에 엄격한 책임을 묻는 이 두 법이 조화롭게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틀로써 노동 형법이라는 새로운 논의를 제기하고자 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