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SCOPUS
헤더윅 스튜디오 사례로 본 건축 표상성의 신경미학적 분석 = A Neuroaesthetic Analysis of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Through the Case of Heatherwick Studi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건축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JAIK))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5-56(12쪽)
제공처
소장기관
현대 건축은 형식적 미학을 넘어 사용자 경험과 감각적 반응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건축 형태가 신경 시각 처리 및 진화 심리학적 의미와 연결되는 방식을 분석하며, 신경유창성과 의미 유창성 개념을 활용해 미적 선호와 건축 패러다임 변화를 설명한다. 근대 건축은 조형의 단순성으로, 이후 파라메트릭 건축은 질서 부여로 신경 효율성을 높여 호감을 유도했다. 비조형적 가치, 즉 표상의미 표현 방식을 헤더윅 스튜디오의 사례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현대 건축이 감각적 경험과 환경적 요소를 활용하여 사용자와 정서적 연결 형성 방법을 고찰한다.
더보기Contemporary architectural design has moved beyond formal aesthetics to focus more on user experience and sensory engagement. This studyexplores the neuroaesthetic and evolutionary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architectural form, examining how aesthetic perception relates tovisual processing and symbolic meaning. Using the concepts of Neural Fluency and Semantic Fluency, the research analyzes aestheticpreferences in architecture and the neuropsychological mechanisms behind shifts in design paradigms. It begins with the modernist era,highlighting how rectilinear and symmetrical forms enhance visual clarity. It then transitions to the digital design era, where complex,shape-based structures stimulate the magnocellular and koniocellular pathways, deepening sensory immersion. This progression reflects abroader shift toward feedback-driven design that reduces cognitive load while enhancing conceptual impact. A case study of HeatherwickStudio’s major works, such as Rolling Bridge, Bund Finance Center, Seed Cathedral, Vessel, and Little Island, illustrates how form canconvey meaning and promote embodied interaction. Findings suggest that contemporary architecture balances visual simplicity with neuralefficiency while enriching symbolic depth, leading to stronger emotional connections. The study ultimately proposes a framework forunderstanding non-formal aesthetic values in architecture. By integrating neuroscience and evolutionary psychology, it offers new perspectiveson designing spaces that are emotionally resonant and human-centered, guiding future design practic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