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제강점기 개성(開城)의 사월초파일 풍속과 개성상인의 활동 = Customs of Buddha's Birthday in Gaeseong and Activities of ‘Gaeseong Mercha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5-64(3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customs of Buddha's Birthday(四月初八日, April 8th on the lunar calendar) in Gaeseong(開城)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t that time. people of Gaeseong enjoyed Buddha's birthday festival the most magnificently and actively in Korean Peninsula, and It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holiday by the people of Gaeseong. Even though, men and women of all ages enjoyed the day regardless of religion, it was more special to ladies, children and merchants. Furthermore it was not only enjoyed by people in Gaeseong, but neighborhood residents.
One of the reasons why Buddha's Birthday festival was more magnificently held, executed and passed down than other regions was because Gaeseong was the old capital of Goryeo(高麗, 918-1392) where designated Buddhism as the national religion. However, there were more important reasons, those were Gaeseong was the city where the tradition of Sijeon(市廛) business had existed since Goryeo period and organizational ability and active performance of Gaeseong merchants was lasting eve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Except ginseng dealers, drapery products dealers such as Seonjeon(縇廛, silk dealer), Cheongpojeon(靑布廛, blue hemp cloth dealer) and Baekmokjeon(白木廛, white cotton dealer) were the biggest and the most powerful merchants which were also the leading group of Sijeon, and Budda’s Birthday was the highest season for them.
Buddha's Birthday is April 8th on the lunar calendar and it is seasonally located in early summer, so in the pre-modern period, by this time people started to change their clothes which were suitable for summer. Therefore, the sales amount of fabrics to make clothes for holidays and summer, had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o attract more customers, Gaeseong merchants made various efforts every year before and after Buddha's Birthday, including lantern decorations on commercial streets and downtown areas, all sorts of entertainment and play, giveaway offerings, and sales events. As the result of these, the regional scope of who visited Gaeseong on Buddha's Birthday to see these games and events was not limited to Gyeonggi-do and Hwanghae-do. Thanks to tens of thousands of people visiting, the sales amount had increased on Buddha's Birthday every year, not only for fabric dealers but also other industries’ dealers.
Above all, the reason why Buddha's Birthday events were held in the Joseon style in Gaeseong wa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Gaeseong.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Gaeseong had smaller Japanese population and weaker economic power then the other cities of Joseon. The percentages of Koreans in the council of Gaeseong-bu(開城府) and th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were all inundant and the commercial supremacy of Gaeseong had been dominated by Koreans. Because Gaeseong merchants of the high stature were leading the city, Buddha's Birthday can be held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contents of the festival could inherit the tradit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Gaeseong was influenced by Japan later than other regions.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개성(開城) 지역의 사월초파일 풍속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당시 전국에서 가장 성대하고 활발하게 실행되었다는 개성의 사월초파일은 개성 사람에게는 1년 중 제일 큰 명절로 중시되었다. 종교와 상관없이 남녀노소가 즐겼다고는 하지만 개성에서 사월초파일은 특히 부인과 아이 그리고 상인의 놀잇날로 여겨졌다. 또한 개성 사람은 물론이고 인근의 주민들도 매년 기대하며 찾는 지역축제의 장이기도 했다.
이와 같이 개성에서 다른 지역보다 사월초파일이 성대하게 전승, 실행되었던 데는 개성이 불교를 국교로 하던 고려의 구도(舊都)였다는 지역사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요인은 개성이 고려시대부터 시전(市廛) 상업의 전통이 존재했던 상업도시였고, 조선의 대표상인으로 손꼽히던 개성상인(開城商人)의 조직력과 활약이 일제강점기까지도 유지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삼상(蔘商)을 제외하고 개성 시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있던 상인은 시전상의 주축이었던 포목상이었고, 이들에게 사월초파일은 중요한 대목이었다.
사월초파일은 계절적으로 초여름인데, 당시 조선의 의생활 관습상 이 즈음은 여름옷으로 갈아입기 시작하는 때였다. 따라서 사월 초부터 파일빔과 여름옷에 소용되는 옷감의 판매가 급증하였다. 이에 더 많은 고객을 유인하고자 개성상인은 사월초파일을 전후로 상가와 시내의 등 장식, 각종 여흥과 놀이 그리고 경품 제공 및 대매출 행사를 여는 등 매년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사월초파일의 관등놀이와 유흥 행사를 보기 위해 개성을 찾는 사람의 지역 범위는 경기도와 황해도를 넘어섰고, 수만 명의 인파덕분에 해마다 사월초파일에는 포목상뿐 아니라 타 업종의 상인들도 매출이 증가하고는 했다.
또한 일제강점기 개성에서 조선적인 사월초파일 행사를 상인이 주도적으로 계속 설행할 수 있던 것은 개성의 지역적 특성 때문이었다. 당시 개성은 조선 내 다른 도시보다 일본인 거주자가 적고 경제력 또한 조선인 상인들이 월등히 우세했다. 그러다 보니 조선인 유력자층이 부회(府會), 상공회의소(商工會議所)를 주도하였고, 개성 내 상권도 장악하고 있었다. 이러한 까닭으로, 개성상인이 주도하는 개성의 사월초파일 풍속은 1930년대 후반까지도 양력을 강요당하는 대신 음력을 고수하고, 내용면에서도 조선 후기의 전통을 가장 온전하게 계승하며 일본의 영향을 비교적 늦게 받을 수 있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