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시민의 사회적 포용 가치 인식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관계신뢰와 사회적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itizens’ Social Inclusiveness Value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Trust and Social Conflic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1(3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act of citizen’s perception of social inclusiveness value(social support, sense of belonging and fairness)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trust and social conflict in these relationships.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general concept of social inclusiveness being discussed as the opposit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were discussed, and the need for active conceptualization. In this study, social inclusiveness refers to positive social inclusiveness that goes beyond simply the absence of social exclusion and provides a minimum social safety ne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o that everyone can live a human-like life,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social solidarity and integration of those with diverse valu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derived and causative and mediated effects among factor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2018 Social Integration Survey of ordinary citizen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perception of social inclusiveness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trust and social conflict in these relationships(H5-2 Exception). In particular, fairness has a strong influence on promoting trust in relationships among social members, satisfaction with individual life, and lowering the level of social conflict, compared to other 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presented to improve citizens’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enhancement of social inclusiveness value are as follows. First, citizens’ desire for a fair society is very great amid the imbalance and polarization of society that is behind rapid economic growth, and to enhance fairness requires citizens’ active interest, participation and opinion-expression efforts as well as the government’s efforts to innovate the social system. Second, efforts to strengthen civic participation and social capital are required to overcome the social conflicts and crises facing Korean society and move toward an inclusive society. To this end, citizens should be allowed to become the main body of an inclusive society through social dialogue. Third,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needed for the spread and internalization of social inclusiveness value awareness.
더보기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의 사회적 포용 가치 인식(사회적 지지, 소속감 및 공정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관계에서 관계 신뢰와 사회적 갈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에서 기존의 일반적인 사회적 포용의 개념이 사회적 배제의 반대 개념으로 논의되는 것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적극적 개념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포용은 단순히 사회적 배제가 없는 것을 넘어 사회적 약자에게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하여 모든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가치들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연대와 통합을 통해 공동체의발전을 이끌어 내는 긍정적 사회적 포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고,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2018년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요인 간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사회적 포용 가치 인식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들 관계에서 관계 신뢰와 사회적 갈등의 부분매개 효과(가설5-2 제외)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정성이 다른 요인에 비해 사회구성원들의 관계 신뢰와 개인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고, 사회적 갈등 수준을 낮추는데 강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포용 가치 제고를 통한 시민들의 삶의 만족 개선을 위해 제시된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속한 경제성장의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사회의 불균형과 양극화 현상의 심화 속에서 시민들의 공정한 사회에 대한 열망은 매우크며,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사회제도 혁신 노력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 의견표명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적 갈등과 위기를 극복하고 포용적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시민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대화를 통해 시민이 포용사회의 주체가 되도록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포용 가치 인식의 확산과 내재화를 위한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5-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연구원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3 | 0.83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2 | 1.233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