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5∼16세기 朝鮮과 琉球의 해역 이동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4(3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15∼16세기에 조선과 유구 사이에는 해역 이동을 통한 다양한 物類의 이동이 있었다. 다만 明중심의 海禁政策시행으로 정치행위로서의 朝貢과 경제행위로서의 무역 사이의 모순이 드러났던 시기였다. 이때 유구는 명나라의 조공제도에 참여하였지만, 조공제도를 전제로 하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이에 유구는 동아시아 해역의 교역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활발한 민간교역을 이끌어 나갔지만, 명의 해금정책 철회와 후기 왜구의 활동으로 조선과 유구의 관계는 간접 교류로 나아갔다.
15∼16세기에 조선과 유구 사이를 物類이동의 관점에서 보면 사람, 물품, 정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나라 사이의 사람 이동은 사절파견, 僞使, 피로인, 표류민으로 나눌 수 있다. 물품의 이동은 무역을 통해 이뤄졌는데, 국가 차원의 공무역과 사무역이 동시에 이뤄졌다. 양국 사이의 접촉을 통해 상대국이 보완할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도 이동 보급되었다. 조선과 유구는 15∼16세기에 걸쳐 동아시아 해역에서 다양한 물류의 이동을 통해 활발하게 교류하였다.
15∼16세기에 조선과 유구 사이의 해역은 먼 거리였기 때문에 일부 직접 항로가 사용되었지만, 대부분은 일본 九州를 경유하는 간접 항로를 이용하였다. 이 경우 일본의 博多상인들이 중개역할을 했지만, 對馬島상인들이 개입하게 되었다. 당시 조선과 유구의 해역을 이동하는 과정은 해류, 조류, 바람이라는 자연현상을 극복해야 했기 때문에 일정한 제약이 있었다. 두 나라는 이를 극복하면서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갔지만, 동아시아 해역에 포르투갈 상인의 진입과 2차 왜구의 활동으로 명을 경유하는 간접교류가 이뤄졌다. 이로 인해 조선과 유구 사이의 해역 이동은 차츰 단절되었다.
There were various movements between Joseon and Ryukyu in the 15 ∼16th centuries. However, it was a time when the enforcement of the termination policy revealed contradictions between tribute as a political act and trade as an economic act. Ryukyu also participated in the tribute system of the Ming Dynasty and conducted state-run broadcasting trade, which was not necessarily based on the tribute system. As a result, Ryukyu emerged as the center of trade in East Asian waters, leading active civilian trade.
The movements of distribution between Joseon and Ryukyu in the 15∼16th centuries can be divided into people, goods, and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vement of logistics. People can be divided into dispatching envoys, fake envoys, repatriation of fatigue and drifting people. Goods were carried out through trade, and government and office services at the national level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formation was introduced and disseminated around the areas that can be supplemented by the other countries through contact between the two countries. Joseon and Ryukyu actively interacted in the 15∼16th centuries through the movement of general logistics in East Asian sea area.
In the 15∼16th centuries, the sea between Joseon and Ryukyu was a long distance, so some direct sea routes were used, but most of them were via Kyushu, Japan. In this case, Hakata merchants in Japan acted as brokers. At that time, the process of using the waters of Joseon and Ryukyu had certain restrictions because they had to overcome the natural phenomena of currents, currents, and winds. The two countries continued to engage in exchanges while overcoming this, but indirect exchanges were made due to external forces" entry into East Asian sea area and fluctuations. This reduced the sea area between the two countri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629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