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강화되는 지역정체성이 향제줄풍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trengthening Local Identity on Hyangje Julpungryu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51-286(3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경제(京制)와 향제(鄕制)와의 긴장관계가 발생하면서 나타난 변화이다. 주요 음악기관과 교육계로 안정적으로 편승한 경제줄풍류(京制줄風流)는 향제줄풍류(鄕制줄風流)의 전승에 매우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다. 이로 인한 경·향간의 긴장은 새로운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이 된다. 즉 새로운 풍류단체가 생성되면서 지역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특히 강한 추진력을 가진 리더가 있는 풍류집단에서는 일종의 문화운동으로도 확장되어 대중적인 실천 활동을 모색한다. 지역정체성의 강화는 분명 새로운 풍류단체가 생겨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풍류모임의 구성원들이 요즘 들어 더욱 열의를 보이고 있는 악보화 작업은 일회적이고 자국이 남지 않으며 끊임없이 생동하는 실체인 음악을 고정화·정형화 시키는 부정적인 역할도 한다. 본래 네트워크 교류 확장적이었던 풍류집단의 성격이 폐쇄적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문화재 종목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점차로 다른 지역에서도 강화되는 지역 정체성으로 인하여 특정 단체에 소속된 사람만이 그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폐쇄적 집단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풍류단체의 경우, 전통의 보존이라는 표제어를 전면에 내세우더라도, 이때의 보전이나 전승은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행해져야 할 것이다. 무형문화재 제도 아래서 정형화된 해당 지역만의 풍류음악이 아니라, 오히려 제도와 국가적 이데올로기에 맞설 수 있는 대응논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활발한 재생산 과정을 통해 세대와 세대 간의 소통을 통한 전승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전통시대 전승되어 온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새로운 경험세계를 구성해 가야 할 것이다. 향제줄풍류는 “나눔과 어울림의 문화여서 자랑스럽다”는 명제가 과거 선배 풍류인들에게 매우 중요했듯이 앞으로 집단 안에서 생산해서 유포하고, 대중들이 향유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명제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이 유산이 지속가능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Wha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s the change which happened by the tension between gyeongje and hyangje. Gyeongje julpungryu which settled safely in major musical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has become very threatening to hyangje julpungryu. The tension between the two has become a momentum driving a new change. Namely, as new pungryu groups are organized, solidifying the local communities those groups belong to. Especially, pungryu groups containing leaders with strong driving forces, grow as a kind of cultural campaigns, seeking popular activities. Strengthening of local identity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sense that it serves as a motive for a new pungryu group can come into being.
However, recent efforts by members of pungryu groups to make orally inherited pungryu songs into scores play a negative role of making music which is one-time, not-leaving-trace, incessantly moving being into something fixed and stereotypical.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pungryu groups which were originally expansive in network exchanges become closed ones. It is partly because of the fact that they are cultural assets. But, it is also because of strengthening local identities where only the members of a specific group can play the music.
Even if pungryu groups advertize preservation of tradition, the preservation or transmission should be made in a new paradigm. They should not be stereotypical pungryu music in specific regions protected by the institu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Rather, the groups should continue to invent logic to counter institutional and state ideology.
Through such an energetic regeneration process, transmission of pungryu music over generations naturally takes place. a new experiential world must be constructed in a wa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ld times. As the thesis that “We are proud of hyangje julpungryu, because it is culture of sharing and onjoying together” was important to the pungryu men in the past, current pungryu men need to create thesis which is generated and within groups, and distributed to the people, and enjoyed by people. The, this heritage can become sustainabl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Practice Folkloristics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7 | 1.336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