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장애인의 재활수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level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8.3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6(2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재활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를 이론적 토대에 기초해 개발하고 개발된 지수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및 16개 지방자치단체별로 수준을 측정,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재활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는 10개영역의 80개 지수이며, 복지여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등록장애인 인구비와 재정자립도 등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우리나라의 재활수준은 100점 만점에 41.3점이었으며 지방차치단체별로는 서울의 복지수준이 72.96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원도가 58.73으로 2위, 제주가 58.3점으로 3위, 대전광역시 4위(54.5), 경상남도 5위(46.34)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5년 평가결과와 비교해 보면 서울과 다른 지역간의 격차가 2배에서 3-4배로 벌어졌고 복지여건인 등록장애인 수와 재정자립도를 감안하면 4-6배 정도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셋째, 10개의 영역 중 재활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지방분권 능력과 복지행정, 복지 및 재활서비스 영역으로 결국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인력, 조직 등이 재활수준을 결정하는데 주요한 변수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장애인복지의 중앙정부 책임성을 당분간 유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서울과 다른 지역간의 재활 수준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역의 적극적 우대조치들이 조속히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복지여건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재활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광역시에 대한 책임성을 보다 분명히 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간의 장애인 재활수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책 agenda를 설정하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의 재활수준을 전반적으로 떨어뜨리고 지역간의 격차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은 지방분권 및 복지행정영역과 복지 및 재활서비스영역임으로 모든 지역이 우선적으로 이 영역의 지표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and develop rehabilitation level indicator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t then drives rehabilitation level indicators of ten indicators, such as safety, health, education, income and economic activities, rehabilitation services, accommodation, human rights, culture and leisure. digital divide, and welfare administration, eighty indicators criteria. Also, it is based on the alleged notion that available indicators currently may not be described adequately the rehabilitation level of local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highest local government with rehabilitation level indicators wer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pectively, which were quadruple level of the other local government. Also, the lowest local government were Jeolla Bukdo and Chung Cheng Bukdo Provincial government. Second, the lowest local metropolitan with rehabilitation level indicators in spite of higher self-supporting finance and the number of disabled persons registered lower than the other local government.
Therefore, to improve this appearance, we should introduce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and strengthen the social image improvement program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 local government leader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9-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12-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7 | 1.537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