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연결주의 분류체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모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Model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Utilizing a Connectivist-Based Classification Framework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과 상대적으로 느린 교육 발전 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체계적 이해와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기술과 교육을 연결하는 가교로서 두 요소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연구는 연결주의 학습이론에 기반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분류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절차적 접근을 취하였다. 연구 절차는 분류체계의 구조적 분석, 역량모델 개발, 교육목표와 학습성과 연계, 교수학습 방법 구안의 4단계를 포함한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8가지 핵심 역량요소를 식별하고, 각 역량을 기초, 중급, 고급의 3수준으로 세분화하였다. 특히 입력, 처리, 출력, 확장 등 단계적 성장을 반영하는 역량모델을 설계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를 가능하게 하였다. 개발된 역량모델은 구체적인 교육목표 설정과 학습성과 도출에 활용되어 학습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나아가, 프로젝트 기반 학습, 문제 기반 학습, 협력 학습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도입하여 실질적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미래 교육의 혁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bridge the gap between rapidly evolving digital technology and the relatively slower development of education by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and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igital literacy serves as a bridge linking technology and education, playing a critical role in facilitating their interac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adopts a procedural approach by analyzing the digital literacy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connectivist learning theory and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accordingly. The research process involves four steps: structural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model, integration with educational goals and learning outcomes, and the desig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eight key competency elements were identified, and each wa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Specifically, the competency model was designed to reflect progressive growth stages, including input, processing, output, and expansion, enabling learner-centered educational design. The developed competency model was utilized to set concrete educational goals and derive learning outcomes, providing a clear learning direction. Furthermo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project-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were implemented to maximize practical learning outcom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effectively developing learn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digital environments and establishing an innovative foundation for future educ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