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한국인에서 익상편과 혈청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와의 관계 =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Pterygium and Alkaline Phosphatase in a Population from Korea
Purpose: We determined whether elevated serum alkaline phosphatase (ALP) was related to prevalence, location, type, length, and recurrence of pterygium in a population from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dataset,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was us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 30 years of age and underwent the ALP test and ophthalmic evaluation (n = 22,359).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o compar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among participants.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serum ALP levels and various types of pterygium. Data were adjusted for known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pterygium and ALP elevation (age, sex, residence, sunlight exposure, drinking, smoking, hypertension, diabetes, BMI, AST, ALT, vitamin D, and HDL).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pterygium was 8.1%, and participants with pterygium had higher levels of serum ALP (p < 0.001). Participants with higher serum AL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all types of pterygium than those in the lower serum ALP quartiles.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LP wa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pterygium (odds ratio [OR], 1.001; p = 0.038). Trend analysis between the OR and ALP quartiles revealed a linear trend in overall prevalence and in the intermediate type of pterygium. Subgroup analysis revealed a stronger correlation in participants > 50 years of ag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an association between the size of pterygium and serum ALP quartile levels. Serum ALP was not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pterygium.
Conclusions: Increased serum ALP wa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and size of pterygium.
목적: 본 연구에서는 증가된 혈청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가 한국인 집단의 유병률, 위치, 종류, 길이, 재발 유무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1년에 시행한 한국 국립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와 안과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30세 이상의 환자(n=22,359)를 대상으로 하였다. 단방향 분석, 카이 제곱 검정 및 피셔 정확한 검정을 사용하여 참가자의 특성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혈청 ALP 수준과 다양한 유형의 익상편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익상편 및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 상승 발달에 대한 알려진 위험 인자(연령, 성별, 거주지, 햇빛 노출, 음주, 흡연, 고혈압, 당뇨병, 신체질량지수, 간 수치, 비타민 D 및 고밀도지단백질) 등을 보정하였다.
결과: 익상편의 유병률은 8.1%였고, 혈청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는 익상편이 있는 환자에서 높았다(p<0.001). 잠재적 교란 인자를 보정한 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혈청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는 익상편 유병률과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OR], 1.001; p=0.038). OR와 혈청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와의 경향 분석은 전반적인 유병률과 익상편의 중간 유형에서 선형 경향을 보였다. 혈청 ALP는 익상편 재발과의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혈청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의 증가는 익상편의 유병률과 크기와 연관성을 보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2 | 0.22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366 | 0.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