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른 ‘건정(말린 생선) 지식’의 변화와 확대-신안 증도(曾島) 사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and enlargement of ‘Geon Jeong (dried fish) knowledge’ to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 - The case of Sin-an jeung-do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5-94(30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In the Shinan area, dried fish is commonly called 'geonjeong'. It dried the salted fish again in the sun and the wind. The reason for this is to make it easier to store and transport. This is a product of traditional knowledge. This knowledge of tradition is being sold as a commodity as the island tourism is activated.
It can be found from various records that the fish has been eaten in the Shinan area since ancient times.
It can be found from various records that the fish has been eaten in the Shinan area since ancient times. But in the Shinan area, it is not known exactly what the word 'geonjeong' is and what its origin is. However, it can be assumed that "dry" is a word containing meaning.
The knowledge about 'geonjeong' traditionally transmitted to ‘jeung-do’ can be divided into fish selection, fish trimming, fish Salted, fish drying, and food production. Use fresh fish. and clean a fish. Then make it salty with good salt. And dried in the sun and wind. This is a genuine knowledge of making good 'geonjeong'. This knowledge of 'geonjeong' changes gradually as the living environment changes and begins to be sold as a product.
As the refrigerator becomes easier to store, the less dried 'bangeonjeong' starts to be produced. and In order to make products with the same salinity per product, 'mulganjil' method starts to be preferred. In addition, various 'development knowledge' such as salt selection, how to dry, how to avoid salty taste, and making food are emerging.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require changes in the traditional knowledge. 'Development knowledge' is emerging according to the changed environment. This development knowledge will become the knowledge of the community after a certain period of verification. expect that this knowledge of competitiveness will continue to be handed down.
신안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말린 생선을 ‘건정’이라고 부른다. 건정은 소금에 절인 물고기를 햇볕과 바람에 건조하여 보관 및 운반이 쉽게 만든 전승지식의 산물이다. 섬 관광이 활성화 되면서 이러한 전승지식이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예로부터 신안지역에서 생선을 말려 먹었다는 것은 여러 기록을 통해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신안 등지에서 사용하는 ‘건정’이라는 단어가 어떤 뜻을 담은 단어인지, 그리고 그 어원은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말리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에서 파생(派生)되었거나, 차용(借用)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증도에 전승되고 있는 건정 관련 지식은 원료 확보, 손질, 간질, 말리기, 음식 만들기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싱싱한 원물을 확보하여 깨끗하게 손질 한 후 좋은 소금을 사용해 간질하고, 햇볕과 바람에 말려 건조 시킨 것이 좋은 건정을 만드는 전승지식이다. 이러한 건정 관련 전승지식이 생활환경이 변하고, 상품으로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변하게 된다.
냉장고의 보급으로 보관이 쉬워짐에 따라 완전히 말리지 않은 ‘반건정’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제품마다 동일한 염도를 지닌 상품을 만들기 위해 ‘물간질’ 방식이 선호되기 시작한다. 이와 함께 소금 선택, 말리는 방법, 간기 빼는 방법, 건정 음식 등 다양한 개발지식들이 등장하고 있다.
생활환경의 변화는 기존의 전승지식의 변화를 요구한다.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개인이 개발한 지식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개인의 개발지식은 일정한 검증기간이 지나면 공동체의 전승지식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경쟁력을 가진 전승지식이 지속적으로 전승되길 기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3-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 KCI등재 |
2019-06-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2009-06-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8-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41 | 0.508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