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신문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조에 관한 연구 : 신문사 레이아웃 중심으로 centering on the newspaper companies' layouts = A study on the graphic interface structure of internet newspap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KDC
658.0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5-161(17쪽)
제공처
본 논문에서는 정보전달매체로서의 효율성에 초점을 맞춰 인터넷 신문에 대한 디자인 기준들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주요 인터넷 신문 디자인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현 인터넷 신문 디자인의 문제점 및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신문은 그래픽을 정보전달의 표현수단으로 사용하는 GUI이다. 매체가 다르다고 해서 그래픽 디자인의 기준이 변하는 것이 아니며,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이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정보를 시각화시켜 전달함으로써 정보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특히 시각디자인 적인 면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정보전달이 용이한지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러한 기준으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외 인터넷 신문들의 디자인을 분석해 본 결과, 국내의 온라인 신문 사이트들은 대부분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엄청난 정보의 제공을 위해서 공간의 구성을 비효율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배너 광고 등의 부수적인 요소에 현란한 플래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독이성을 떨어뜨려 사용자의 입장을 충분히 배려한 편안한 컨텐츠의 구성이 아쉬웠다. 또한 각 신문마다 오프라인에서 갖고 있는 자신들의 특성을 염두에 두지 않고 천편일률적인 구조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구성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디자인적인 조정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인터넷 신문 디자인은 화려한 그래픽의 제작에 대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장에서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이해하고 보다 적합하게 제시하는 것이다.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변모하고 있는 인터넷 신문 디자인을 위해서 현 인터넷 신문 디자인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파악하는 것은 의의가 있는 것으로 앞으로의 인터넷 신문 디자인 방향 모색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riteria to design internet newspapers that are focused on their efficiencies as information transferring media,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jor internet newspapers' design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current internet newspapers' design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ir improvements.
An internet newspaper is a GUI(Graphic User Interface) which uses graphic as a tool to express the transferred informations. No matter what is the selected medium, the criteria of graphic design are not changed. And,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using information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of new interface and by visualizing and transferring in the most appropriate manners to it.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information can be easily transferred in the aspect of visual design of user interface. The designs of domestic and foreign internet newspapers were analyzed by these criteria. It was found that most domestic online newspaper sites had several common characteristics. They organized spaces inefficiently to provide enormous informations. They used dizzy flash techniques on the incidental elements such as banner advertisement, which hampered easy reading. The researcher felt the lack of comfortable contents organization in which users could be cared.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all the researched newspaper companies operated monotonously structured web sites without think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 of organization, they lacked adjustments in design.
In the design of internet newspaper, it is required not to produce splendid graphics but to understand and provide interface which is appropriate to users with consideration of efficient navigation.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the designs of internet newspapers and to identify the required improvements for the continuously growing and changing internet newspapers' designs. It will be helpful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internet newspapers' desig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