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수업 사례 = The Case Study of Academic Writing Class Using ‘Reading one book per one semest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19-344(2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academic writing class model suitable for the MZ generation familiar with digital environments. The MZ generation has confidence in short writing that shares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but they are onerous to write academic writing required by universities. However, practicaloriented major students complain of more difficulties because SungShin Women's University's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has the same curriculum as most universities. For differentiated class strategies for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classes by applying the reading guidance method ‘Reading One Book for a Semester’ and prepared practical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students' surveys in depth.
This class is not for writing from Week 9 to 14, the professor encourages reading books by explaining the link betwee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t the university and holds discussions in groups over Week 5 online. A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broad thinking of a book that links to deep insight and overall perception help students perform their “academic writing” tasks. Postsurveys show that student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reading positively, and they agreed with the need for discussion classes.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say it helps the academic writing generally and confirms that various opinions, views, and information were shared and discussed to link reading activities.
Based on “Reading One Book for a Semester,” the effect of this class is to relieve the fear of students who had difficulty in long writing, academic writing, and having a reading experience. In additio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literacy were improved by listening to various classmates' opinions and analyzing a book from different viewpoints. In particular, this experience, having a positive experience of reading while feeling the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and insight through reading, will guide students to become constant readers. If debate classes based on “Reading One Book for a Semester” will be strengthened, it will help students who have little motivation or difficulties reading and writing at the university level to improve their practical writing skills.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 친숙한 MZ세대에게 적합한 학술적 글쓰기 수업모델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는 MZ세대에게 ‘보는’ 활자의 익숙함에 반해 ‘읽는’ 문자의 독해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다른 학교와 다름없이 S여대의 <창조적 사고와 글쓰기>는 전 학과가 같은 커리큘럼으로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MZ세대를 위한 차별화된 수업 전략, 교수법이 필요하다. 독서와 글쓰기의 경험과 필요성이 적은 실기 전공 학과를 중심으로 ‘한 학기 한 권 읽기’ 독서 지도법을 적용함으로 MZ세대에 적합한 수업 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글쓰기와 읽기 경험이 적고 낯선 학생들의 방어기제를 해체하고 자발성과 적극성을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한 학기 한 권 읽기’ 독서 지도법으로 수업한 후, 이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9주차부터 14주차까지 수업에서 교수자는 대학에서 읽기 교육과 쓰기 교육의 연계성과 필요성 등을 설명하면서 책 읽기를 독려하였고 5주에 걸쳐 온라인 소회의실에서 조별로 토론을 진행하였다. 한 권의 도서에 대한 충분한 이해, 폭넓은 사고는 깊은 통찰과 작품에 대한 총체적 인식으로 이어져 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는데 눈에 띄는 성취와 만족감을 보여줬다. 사후 설문조사에서 독서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으며 토론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런 일련의 과정이 학술적 글쓰기 전반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다양한 의견과 관점, 정보를 공유한 것과 토론으로 독후활동을 연계한 것이라는 응답을 확인하였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기반으로 한 수업의 효과는 긴 글, 학술적 글쓰기에 어려움을 느끼던 학생들의 두려움 해소와 제대로 된 독서 경험을 가졌다는 데 있다. 특히, 독서를 통해 비판적 사고와 통찰력이 향상되는 것을 스스로 느끼면서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했다는 것은 이후, 꾸준한 독서의 동인이 되고 독서 하는 방법에 대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한 권의 책을 다각도로 분석하면서 독해력이 향상되었다. 향후,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독서와 글쓰기의 동인이 적거나 어려움을 느끼는 디지털 시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강화한다면 실제 글쓰기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9 | 0.732 | 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