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서 자아 재구성과 성찰의 가능성 연구 -본인 작품 <I>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elf-Reconstruction and Reflection in Interactive Media Art -Focusing on the Work <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8-116(9쪽)
제공처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자아 성찰과 정체성 탐구의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작품 <I>를 중심으로 디지털 환경에서 자아 재구성과 성찰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작품 <I>는 실시간 상호작용과 다채널 미디어를 활용하여 관람객이 자신의 모습을 다층적으로 경험하도록 설계되었다. 첫 번째 스크린은 ‘시간적 흐름의 간극’을 강조하여 과거와 현재의 자아를 동시적으로 탐색하게 하며, 두 번째 스크린은 ‘정체성’을 주제로 삼아 관람객이 자신의 자아를 깊이 성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연구는 플로티노스의 자각 이론, 라캉의 거울 단계 개념, 현대 미디어 철학을 토대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가 자아 탐구의 새로운 방식으로 작용함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 자화상과 달리, 관람객은 단순한 관찰자가 아닌 능동적 참여자로서 자아를 지속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나아가, 미디어의 실시간 피드백과 다채널 구조는 관람객의 자아 인식을 확장하고 몰입을 심화시키며, 기존의 정체성 개념을 유동적이고 변화하는 존재로 인식하게 만든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자아 성찰 방식과 미디어아트의 역할에 대한 철학적·실천적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한다.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significantly transformed the methods of self-reflection and identity explo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self-reconstruction and reflection in digital environments, focusing on the interactive media art installation <I>. The artwork utilizes real-time interaction and multichannel media to allow participants to experience their self-image in a multilayered manner. The first screen emphasizes “temporal disjunction,” enabling viewers to simultaneously explore their past and present selves, while the second screen, centered on “identity,” encourages deep reflection on selfhood.
Grounded in Plotinus' theory of self-awareness, Lacan’s mirror stage concept, and contemporary media philosophy, this study explores how interactive media art functions as a novel mechanism for self-exploration. Unlike traditional self-portraits, the interactive nature of <I> transforms spectators into active participants who continuously reconstruct their identities. Furthermore, the integration of real-time feedback and multichannel structures extends the scope of self-awareness and enhances immersion, prompting individuals to perceive identity as a fluid and evolving ent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philosophical and practical discourse on self-reflection in the digital media er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