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병원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혁신지향성과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 및 디자인씽킹 교육의 조절효과 = The Impact of Self-efficacy of University Hospital Workers on Innovation Orientation and Go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and Moderating Effect of Design Thinking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01-1628(28쪽)
제공처
인공지능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의료산업의 환경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진료영역을 벗어나 의료기기, 신약개발 등을 위한 연구 영역의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 의료산업 종사자들은 진료에 국한된 근무 환경에서 탈피해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는 기존 사고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새로운 환경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창의성을 발휘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디자인씽킹 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검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교육분야에서는 이미 디자인씽킹 기법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사기업들도 이러한 교육기법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을대상으로 유효한 교육 효과가 있는지, 실제 창의성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미치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창의성이 혁신지향성과 목표몰입에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은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창의성은 혁신지향성과 목표몰입에 정(+)의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씽킹 교육은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창의성은 후향적으로도 향상될 여지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렇게 향상된 창의성은 개인의 업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이 맡은 업무에 더욱 몰입하게 됨으로써 조직문화 전반에 점진적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교육을 통해 직원의 창의성을 후향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고, 종속변수 위주로 연구되었던 창의성의 개념을 매개변수로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도 검증하였다.
아울러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경영자 입장에서 병원경영의 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including AI(Artificial Intelligence), the environment of the medical industry is developing rapidly, and it is being reborn as a research platform for medical device and new drug development beyond the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rea. Workers in the medical industry need to break away from a work environment limited to medical treatment and adapt to new environmental changes, which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how individuals can demonstrate creativity in a new environment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paradigm of thinking.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sign thinking education’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research on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through design thinking techniques has already been actively conducted, and private companies are also adopting these educational techniques. In this study, we sought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 valid educational effect for workers at medical institutions and what kind of moderating effect it has on actual creativity.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reativity had a mediating effect on innovation orientation and go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ity, and Creativity had a positive (+) mediating effect on Innovation orientation and Goal commitment. Design thinking education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proving that Creativity can be improved retrospectively. This improved Creativit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an individual's work,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can lead to gradual development in the overall organizational culture by making individuals more immersed in their work.
This study verified that employee creativity can be retrospectively improved through design thinking education, and also verified how it affects various variables by sett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which was mainly studied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parameter.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attempt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help managers derive hospital management strateg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