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생기업 경영자 외부네트워킹행동과 경쟁우위성과: 자금조달성과, 동태적역량, 제품혁신성과의 순차적 매개 = A Study on Startup Entrepreneurs’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Competitive Advantage: Sequential Mediation of Financing Performance, Dynamic Capabilities,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49-1672(24쪽)
제공처
본 연구는 신생기업의 경쟁우위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고, 어떻게 하면 신생기업의 경쟁우위성과를 높일 수 있는지 연구하고자 했다.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신생기업 경쟁우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관계가 유의한지 실증하고자 했다. 신생기업 경쟁우위성과에 대한 선행변수로 제품혁신성과, 동태적역량, 자금조달성과를 선정했다. 그리고 자원과 역량 부족으로, 신생기업이 시장이 요구하는 제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경영자가 할 수 있는 것으로, 외부네트워킹행동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했다.
신생기업 경영자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쟁우위성과, 제품혁신성과, 동태적역량, 자금조달성과, 그리고 경영자 외부네트워킹행동을 측정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및 모형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모두 적합한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신생기업 경영자 네트워킹행동은 자금조달성과와 동태적역량 각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금조달성과는 동태적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동태적역량은 제품혁신성과, 기업의 경쟁우위성과 각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품혁신성과는 기업의 경쟁우위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신생기업 경영자 외부네트워킹행동은 자금조달성과, 동태적역량, 제품혁신성과를 순차적으로 매개해서 기업의 경쟁우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했고, 향후 연구를 제안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1) factors affecting the competitive advance performance of startups and 2) how to increase the competitive advance performance of startup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elected competitive advantage performance as a variable to represent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and the following as antecedents thereof: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dynamic capabilities, financing performance, and startup entrepreneurs’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Many previous studies have used qualitative approaches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variables, while few quantitative studies have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was, therefore, warranted, which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02 startup entrepreneurs was conducted to measure competitive advant ag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dynamic capabilities, financing performance, and startup entrepreneurs’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tartup entrepreneurs’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nancing performance and dynamic capabilities. Second, financing perform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ynamic capabilities. Third, dynamic capabil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Fourth,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etitive advantage performance. Finally, startup entrepreneurs’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etitive advantage performance by sequentially mediating financing performance, dynamic capabilities,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the structural model established by this study was tested, and the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was considered adequate in view of the structural model fit indic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conceptual model proposed by previous studies as a research model.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examined in this study established a possible relationship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reviews, cases, and interviews, and suggested it would need to be demonstrated in the future (Kump et al., 2019; Vrontis et al., 2020). This study’s significance is that it actually demonstrated this empirically.
Second, startup entrepreneurs can obtain funds through engaging in external networking. Through interviews with successful startup entrepreneurs, Kim & Moon (2021) developed a theoretical framework to reflect the fact that startup entrepreneurs can obtain funds in exchange for trust and reciprocity to funders, which is consistent with this study’s empirical findings. Therefore, if startup entrepreneurs engage in networking behavior based on trust and reciprocity to those with whom they have a business partnership outside their startups, they may be effective at raising fund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