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네이버 독일어 사전 개정작업의 사전학적 고찰 = Lexikografische Überlegungen hinsichtlich der Überarbeitungstätigkeiten am Naver-Wörterbuch Deutsch-Koreanisch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9-272(2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Dieser Beitrag stellt die Arbeit des Teams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für Germanistik vor, das mit der Überarbeitung des Naver-Wörterbuch Deutsch-Koreanisch zwischen Juni 2017 und Februar 2022 betraut war. Es werden die Vorgehensweisen, die lexikografischen Probleme und Entscheidungen des Teams zusammengefasst. Diese Überarbeitung war in vielerlei Hinsicht ein bedeutendes Projekt. Dazu gehörten, um nur einige Aspekte zu nennen, die Implementation eines Entwicklungsmodells für Wörterbuchinhalte in Zusammenarbeit von Wissenschaft und Industrie, der Aufbau grundlegender Ressourcen im Bereich der deutschen Sprach- und Literaturerziehung und der digitalen Geisteswissenschaft, schließlich die Weiterentwicklung der Wörterbuchplattform, um Wörterbuchinhalte aus dem Printwörterbuch idealerweise auch im PC- bzw. Mobilwörterbuch zur Verfügung zu stellen.
Insbesondere könnten der fertiggestellte „50,000-Satz-Korpus“ und der „Neologismen-Korpus“ als Ausgangspunkt des sogenannten <KGG-Korpus> bezeichnet werden. Der zukünftige Parallelkorpus Deutsch-Koreanisch und die Wörterbuchrevisionsarbeiten können kontinuierlich zum <KGG-Korpus> hinzugefügt und dieses so erweitert werden. Zunächst kann das Hinzufügen der Wortliste und der Beispielsätze erwähnt werden, die dem Niveau des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s von B2 bis C2 entsprechen. Insofern dient dieser Korpus nicht nur der Wörterbucherstellung und der Wörterbuchrevision, sondern kann beispielsweise auch für den Grammatik- und Übersetzungsunterricht im Bereich der deutschen Didaktik herangezogen werden.
이 논문에서는 2017년 7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약 4년 4개월간 진행된 한국독어독문학회 사전개정팀의 네이버 독일어 사전 개정작업에 대한 단계별 진행상황, 사전편찬상의 문제점 및 결정, 독일어 교육적 함의 등을 논의한다. 이번 개정작업의 의의로서 학계와 산업계의 협업에 의한 사전 콘텐츠의 개발 모델 구현, 인쇄 사전 콘텐츠의 PC/모바일 사전 콘텐츠로의 변환과 이에 따른 사전 플랫폼의 강화, 개정작업 결과물의 학회 공유를 통한 독일어문학 교육 및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토대 자원 구축 등을 언급할 수 있다.
특히 이번에 완성된 ‘5만 문장 코퍼스’와 ‘신조어 코퍼스’는 소위 <KGG 코퍼스>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장래의 독-한 병렬코퍼스, 사전 개정작업 결과물 등을 지속적으로 <KGG 코퍼스>에 추가, 확장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코퍼스는 사전 편찬 및 개정 작업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독일어 교육 분야에서도 예컨대 문법 수업, 번역 수업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 도구이다. 끝으로 이번 사전개정팀의 결과물은 네이버 독일어 사전 플랫폼을 통해 즉각적으로 서비스된다는 점과 독어독문학 연구자 누구에게나 공유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