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IE
SCOPUS
Comparis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Umbilical Cord Wharton’s Jelly-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rom Extremely Preterm and Term Infants
저자
Huang Peng (Shenzhen Children’s Hospital of China Medical University) ; Qin Xiaofei (Shenzhen People’s Hospital) ; Fan Chuiqin (Shenzhen Children’s Hospital of China Medical University) ; Wang Manna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Women and Children’s Medical Hospital of Guangzhou Medical University) ; Chen Fuyi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Women and Children’s Medical Hospital of Guangzhou Medical University) ; Liao Maochuan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Second Affiliated Hospital of Shantou University Medical College) ; Zhong Huifeng (Affiliated Shenzhen Maternity and Child Healthcare Hospital, Southern Medical University) ; Wang Hongwu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Second Affiliated Hospital of Shantou University Medical College) ; Ma Lian (Shenzhen Children’s Hospital of China Medical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Korean Tissue Engineering & Regenerative Medicine Socie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SCIE,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25-737(1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BACKGROUND: Despite the progress in perinatal-neonatal medicine, complications of extremely preterm infants continue to constitute the major adverse outcom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Human umbilical cord Wharton’s Jelly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UMSCs) may offer new hope for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neonatal disorder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functional differences of HUMSCs between extremely preterm and term infants.
METHODS: UMSCs from 5 extremely preterm infants(weeks of gestation: 22?5 w,24?4 w,25?3 w,26 w,28 w) and 2 term infants(39 w,39?2 w) were isolated, and mesenchymal markers, pluripotent genes, proliferation rate were analyzed.
HUVECs were injured by treated with LPS and repaired by co-cultured with HUMSCs of different gestational ages.
RESULTS: All HUMSCs showed fibroblast-like adherence to plastic and positively expressed surface marker of CD105,CD73 and CD90, but did not expressed CD45,CD34,CD14,CD79a and HLA-DR; HUMSCs in extremely preterm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 in proliferation as evidenced by CCK8, pluripotency markers OCT-4 tested by RT-PCR also showed increase. Above all, in LPS induced co-cultured inflame systerm, HUMSCs in extremely preterm were more capable to promote wound healing and tube formation in HUVEC cultures, they promoted TGFb1 expression and inhibited IL6 expression.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HUMSCs from extremely preterm infants may be more suitable as candidates in cell therapy for the preterm infan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