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폴 틸리히의 기도 신학에 관한 소고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3-149(27쪽)
KCI 피인용횟수
11
제공처
현대 영성에 관한 논의에서 발견되는 그릇된 경향성 중의 하나는 쉘드레이크가 ‘무관심한 내면성’이라고 부르 는 현상으로써, 내면적인 경험이 영적인 실천과 동떨어지고 영적인 실천은 일상세계에의 참여로부터 분리되 는 것이다. 영적 실천의 하나인 기도는 기독교적 비전과 이해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며, 일상세계로부터 분리될 수도 없다. 그러므로 기도자로 하여금 일상적 삶에 분별력을 가지고 참여하도록 독려하면서 건강한 기독교 비 전에 바탕을 두는 기도의 신학이 요청된다. 이 논문은 폴 틸리히의 기도에 대한 이해를 살펴봄으로써 개신교적 기도 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 적이 있다. 틸리히에게 기도는 존재의 근원으로 돌아가려는 영적인 갈망이요 궁극적 관심을 향한 마음의 고양 이다. 이는 탈아적이고 계시적인 사건으로써 주체-객체 관계를 넘어서는 존재의 근원과 심연에의 참여이다. 그에게 기도는 계시, 섭리, 성령의 임재, 그리고 믿음과 같은 개신교 신학적인 주제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이해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먼저 틸리히의 기도 신학의 배경으로서 그의 종교철학적 유형론을 간략하게 검토한 다. 그에게 신비주의와 관상은 가톨릭교회에 잘 보존된 성사적-수직적 요소인데, 개신교는 이를 기초로 삼아 야만 자신의 독특성을 창조적으로 발현해 나갈 수 있다. 이어서, 틸리히의 저술 속에 나타난 기도에 대한 대표 적인 정의들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시도한다. 이 분석을 기초로 틸리히의 기도 신학의 영성학적 함의를 결 론부에서 약술한다. 틸리히의 기도 신학은 기도와 일상적 삶을 매개하고, 개신교적 영성 신학의 구성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며, 기독교 영성 전통 속에서 발전되어 온 다양한 형태의 기도의 방법적 원리로써 활용될 수 있 다.
더보기According to Philip Sheldrake, there is a tendency in the study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which the so- called inner experience is often dissociated from spiritual practice and also spiritual practice from everyday life. Sheldrake calls this tendency the “detached interiority.”In principle, prayer as a way of spiritual practice cannot be separate both from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from everyday life. A theology of prayer is therefore demanded that is based on a healthy theology and enhances a discerning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veryday life. This article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Protestant theology of prayer in exploring Paul Tillich ’s understanding of prayer. For Tillich, prayer is the spiritual longing of a finite being to return to its origin and the elevation of the heart toward the ultimate concern. An ecstatic and revelatory event, it also has to do with participating in the ground and abyss of being that transcends the subject-object relation. His understanding of prayer has a Protestant theological background, in which it is related to various theological them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will take a brief look at Tillich’s typology of the philosophy of religion, which constitutes the background of his theology prayer. In his thought, mysticism and contemplation are illustrated as the sacramental-vertical element of religion that is well preserved in the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ism should make this element as the foundation of its creative development. In what follows, we will explore his definitive expressions for prayer, then, on this basis, sketch out spiritual theological implications of his theology of prayer. Tillich’s theology of prayer is mediates prayer and everyday life, provides a basic matrix in which to construct an effective Protestant theology of prayer, and can be used as a methodological principle in incorporating various types of prayer developed in the trad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nto the context of the Protestant church.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4 | 0.653 | 0.6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