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세대 인천 진보정당의 지속성과 변화 = The Continuity and Changes of the Second-Generation Progressive Party of Inche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1-260(4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o observe the level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stabilization in the Progressive Party of Incheon,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n how its continuity has been maintained and how it has changed.
First, the Progressive Party of Incheon maintained its continuity with the Democratic Labor Party and the New Progressive Party, Unified Progressive Party, Justice Party, and People’s Party, which are successor parties.
Analysis was conducted on leadership from dimensions of ‘parties within organizations’ and on the continuity and changes of dominating factions to look into the internal stabilization of the Progressive Party of Incheon, and this show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second-generation Progressive Party, the Progressive Politics Union of the Egalitarian Party was the leading and dominating faction but around the time that the 4th local elections were held in 2006, the Incheon union of the Independence Party rose to that position and has been maintaining it stably until now.
Also, the number of party members, which is the basis of support for party organizations, was not greatly affected by the split of the Democratic Labor Party and showed increasing trends and then it decreased after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and has now become stabilized with continuously increasing trends until this present time in 2019.
Analysis conducted on the number of votes in previous elections to look into the stabilization of external support bases of the Progressive Party of Incheon from dimensions of ‘parties within voters’ showed that the numbers of general election votes fluctuated greatly in a W-shape and that the numbers of local election votes showed to be relatively stable compared to general elections with trends forming an N-shape. General observations of the numbers of votes in previous elections recently showed continuous upward trends and the largest number of votes was acquired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in 2020.
The Progressive Party of Incheon has stabilized internally and externally, showing high levels of party institutionalization. For the Progressive Party of Incheon to continuously evolve and develop, first, interest must be granted to continuous shifts of generations while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leadership and dominating factions. Second, as there is now stability in election vote numbers, central areas for local political activities must be determined through long-term discernment and not election results. Third, methods must be searched for to receive the choice of voters while an identity as a progressive people’s party is made clear.
본 연구는 인천지역 진보정당의 제도화, 안정화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어떻게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천지역 진보정당은 민주노동당과 그 계승정당인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정의당, 민중당 등으로 지속성을 유지하였다. 이들 계승정당은 ‘정파 속의 정파연합 정당’인 민주노동당 정파들의 이합집산하는 과정에서 생겨나기도 하고 소멸되면서 진보정당으로써 지속성을 유지함으로써 정당제도화의 필수요건을 갖추게 되었다.
인천지역 진보정당의 내부적인 안정화를 파악하기 위해 ‘조직 속의 정당’차원에서 리더십과 지배정파의 지속성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 2세대 진보정당 초기에는 평등파의 진보정치연합이 리더십과 지배정파였으나 2006년 4회 지방선거를 전후로 하여 자주파의 인천연합이 그 지위에 오르게 되었고,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정당조직의 지지기반인 당원 수는 ‘민주노동당 분당사태’에는 별 영향을 받지 않고 증가 추세였는데, ‘통합진보당 사태’이후에 감소 추세였다가 2019년 현재까지 계속 증가 추세로 다시 안정화 되었다. 전국 진보정당의 당원 수는 통합진보당 해체 이후 크게 감소하였지만 인천 진보정당의 당원 수는 이보다 전인 정의당 창당 당시 급감했다. 이는 인천 진보정당의 지배정파인 인천연합이 통합진보당 사태 이후 자주파와 결별하여 정의당에 합류하면서 생긴 공백으로 분석되었다.
인천지역 진보정당의 외부적인 지지기반의 안정화를 파악하기 위해 ‘유권자 속의 정당’차원에서 역대 선거 득표수를 분석한 결과 총선 득표수 추이는 W자형으로 등락이 켰으며, 지방선거의 득표수 추이는 N자형으로 총선보다 안정적인 형태를 띠었다. 역대 선거 득표수를 전체적으로 파악해 보면 최근에 계속 상승세 이며 2020년 21대 총선에서 가장 높은 득표수를 획득했다.
본 연구는 ‘인천’을 보다 온전히 이해하고 깊이 있게 탐색하기 위해서는 ‘노동자의 도시’ 인천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는데 밑거름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계기로 인천지역 진보정당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3 | 1.059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