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발성조절에 있어서의 피드백의 특성 및 역할 연구 : Part Ⅰ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Feedback to Singers’ Voice Control
저자
고선미 (대구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0(24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Auditory feedback is commonly regarded as the obvious tool for voice control on singing under normal circumstance. But by its very nature, auditory feedback does not provide a reliable means for controlling voice.
Listening own voice in controlling voice is primarily the sensory experience that involves both the ear and the body. The sensory systems on the ear and the body provide not only auditory feedback but also proprioceptive feedback. Therefore singers should rely on auditory as well as on proprioceptive feedback to have accurate control of their own voice. The proprioceptive feedback is essentially based on the senses of pallesthetic(vibratory), kinesthetic(muscular) and vestibular(balance or equilibrium) system. The proprioceptive feedback provides singers with precise landmarks for controlling their emission. This means of control is more reliable than auditory feedback in which the voice is substantially modified by the acoustics of the environment.
Perhaps what Lamperti referred to when he said “Do not listen to yourself sing! Feel yourself sing!” is the need to use not only ears but also body.
성악은 신체를 악기로 하는 음악 연주 행위로서 신체는 다른 악기와는 달리 유기체라는 고유성을 갖는다. 유기체는 자기조절시스템(self-regulating system)에 의해 그 기능을 하게 되는데 모든 시스템은 조절순회시스템(regulatory circuit system)으로서 발성조절 또한 발성을 위한 피드백의 순회(feedback loop)에 의하여 그 기능을 하게 된다. 발성조절을 위한 피드백은 신경・감각계가 체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화와 체외에서 받는 자극에 대한 정보를 뇌에 보고하여 뇌가 이 정보를 분석하여 직접 지시함으로써 발성기관인 신체가 어떤 반응을 보이거나 대처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시각으로는 발성조절에 있어서 청감각 피드백이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으나 기술적인 발성조절력이 요구되는 전문 성악가의 경우는 청감각 피드백은 믿을만한 피드백의 역할을 하기에는 부족하다. 왜냐하면 성악가들에게는 정확한 음정 조절력 외에도 폭 넓은 음악적 표현을 목소리를 통해서 표현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며 다양한 환경적 조건 하에서 연주를 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발성 조절력을 보여줄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성악가들은 대규모의 오케스트라나 합창단과 연주를 하는 경우 성악가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는 청감각 차폐 상황이나 연주장소마다 다른 음향적 조건 하에서도 안정된 발성조절력을 보여줄 것이 요구된다.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성악훈련은 청감각 피드백 지각능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하지만 자기감수 피드백의 지각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청감각 피드백 외에 자기감수 피드백에 의존한 발성조절이 전문 성악가와 일반인들을 구분하게 되는 가장 뚜렷한 조건이 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청감각 피드백은 성악가가 후두부에서 발성한 목소리가 성도를 지나 입 밖으로 방출된 소리를 다시 성악가의 귀를 통해 듣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자기감수 피드백은 성악가가 후두부에서 발성한 목소리가 성악가의 골격계의 진동으로서 지각되는 팔레스테틱 피드백, 발성기관이 기능을 하면서 지각되는 근감각과 전정기관 감각을 포함하여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19세기의 저명한 발성학가 람페르티가 남긴 “자신의 목소리를 듣지 말고 느끼면서 노래하라.”라는 금언의 의미를 설명해준다. 따라서 성악가와 성악를 지도하는 교사는 자신의 소리를 듣기보다는 느낄 수 있는 능력을 훈련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발성훈련 또는 연습의 결과를 갖게 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3-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Music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5-02-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4 | 0.26 | 0.543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