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브렉시트 이후 엘긴 마블(Elgin Marbles) 반환 논쟁의 동시대적 국면: 3D 스캐닝과 복제품 제작 이슈를 중심으로 = Contemporaneous Aspects of Elgin Marbles Repatriation Controversy: Focusing on 3D scanning and Replica Production Issues
저자
김연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9-323(25쪽)
제공처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contemporary debate among stakeholders over the issue of the repatriation of Elgin Marvel. England, which had been refus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request for the return of Elgin Marble, began to receive intense diplomatic pressure from Greece after Brexit took effect. In the process, the UK-based Institute of Digital Archaeology attempted to create a replica based on their digital technology as a measure to encourage the return of Elgin Marble. The institute requested digital scanning from the British Museum to make a replica close to the original. However, the British Museum declined the request because it was concerned that the project's success might spur a policy drive for return. As a result, England insists that Elgin Marble should be located in the British Museum, which could promise appropriate preservation and exhibition environment for cultural properties. Greece emphasizes that, on the premise that cultural identity should be restored, marble fragments scattered in various places should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and attempt to integrate ethnic culture. Then the institute, which placed in a neutral position, presents an ethic of reciprocity.
더보기본 연구는 엘긴 마블 반환문제를 둘러싼 이해주체들 간의 동시대적 논쟁을 조명한다. 그동안 엘긴 마블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환 요청을 거부해왔던 영국은 브렉시트 발효 이후 약탈의 당사국인 그리스로부터 강도 높은 외교적 압력을 받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영국에 위치한 디지털 고고학 연구소는 엘긴 마블의 반환을 이끌어내기 위한 조치로서 자신들의 디지털 기술을 토대로 복제품 제작을 시도했다. 연구소는 원본에 가까운 복제품 제작을 위해 대영박물관에 디지털 스캐닝을 요청했다. 그러나 대영박물관은 이 프로젝트의 성공이 반환을 위한 정책적 드라이브를 촉진시킬 가능성을 염려했기 때문에 요청을 거부했다. 본고는 엘긴 마블 컬렉션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반환 문제에 있어 어떠한 논쟁들이 존재했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후 브렉시트가 본 쟁점의 국면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분석한 후, 연구소의 디지털 스캐닝 요청과 관련된 관련 이해주체들의 입장을 정리한다. 결과적으로 영국은 문화재의 적합한 보존과 전시환경을 약속할 수 있는 대영박물관에 엘긴 마블이 위치해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스는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전제를 들어 여러 곳에 분산된 대리석 조각이 본국으로 돌아와 민족 문화의 일체적 결합을 시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환의 찬반 입장과는 별개로 이 사안의 중립적 위치에 있는 연구소는 호혜성 윤리를 제시한다. 복제품이 영국으로 가면 많은 관람자의 방문을 유도하면서 엘긴 경이 희망했던 교육적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고, 그리스는 원본을 돌려받아 문화적 뿌리를 다시 이어나갈 수 있으며, 연구소 역시 관람자의 경험을 확장시키기 위한 학술적, 상업적 목적을 광범위하게 수행하는 다목적 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