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야자와 겐지(宮沢賢治) 『쏙독새의 별』(よだかの星)에 나타난 ‘이름’의 의미 - 분류학과 근대적 자아를 중심으로 ― = The Significance of 'Name' in "Yodakano Hoshi" by Miyazawa Kenji: Focusing on Taxonomy and Modern Self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5-184(2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Yodakano Hoshi, which is a children’s story, was not published in Miyazawa Kenji’s lifetime. The draft is assumed to have been finished around 1921 before it was published in 1934, one year after the author’s death. In this novel, the main reason for Yodaka’s agony lies in the fact that despite his unattractive appearance, his name is similar to the falcon. Then, what does it mean to be forced to change one’s name in this novel?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name” in Yodakano Hoshi written by Miyazawa Kenji, and then explored the author’s thought, the modernity of his works, the system of thought and knowledge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n self” for modern Japanese peop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ct of changing Yodaka’s name can be understood to have two meanings. First, it indicates the change in the taxonomy system according to modernization (that is, the change in the system of thinking). Second, it signifies the confusion of the modern Japanese people who had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ir “self” because they failed to establish the “modern self”. However, Yodaka refused to change his name and chose instead to become a star in the sk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overcoming the acceptance of the “extraneous” modern civilization and preserving his own “self”.
「쏙독새의 별」은 미야자와 겐지의 생전에는 발표되지 못한 동화이다. 초고는 1921년경에 완성되었을 거라 추측되고 있고, 미야자와 겐지 사망 다음해인 1934년에 발표되었다.
못생겼다고 놀림을 받는 쏙독새는 볼품없는 외모와 다르게 ‘밤매’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밤매’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쏙독새의 날개가 너무나 강해서 바람을 가르고 날아오를 때는 마치 매처럼 보이고, 울음소리가 날카로워 어딘가 매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러자 매가 나타나 쏙독새에게 왜 남의 이름을 차용하고 있는지 따지며 당장 이름을 바꾸라고 협박을 하게 된다. 매에게 협박을 받고 괴로워하던 쏙독새는 자기 자신도 벌레를 먹으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즉 강한 자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자신도 사실은 약자를 괴롭히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고 괴로움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사실에 괴로워하던 쏙독새는 가까운 친구들에게 인사를 하고 하늘을 향해 날아간다. 해와 별들에게 자신을 받아달라고 간청하지만 계속 거부당한다. 이렇게 여러 번 거부당했지만, 결국 쏙독새는 하늘로 올라가 영원히 불타는 별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이 소설에서 쏙독새가 괴로움을 당하는 가장 큰 원인은 외모가 볼품없지만 이름이 매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소설에서 이름을 바꾸기를 강요받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본 논문에서는 미야자와 겐지의 「쏙독새의 별」에서 ‘이름’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한 후에 이를 통해 미야자와 겐지의 사상, 그리고 그의 작품이 지니고 있는 근대성, 동서양 사고 지식 체계, 근대 일본인에게 ‘근대적 자아’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쏙독새에게 이름을 바꾸라는 행위는 다음 두 가지 의미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첫 번째는 근대화에 따른 분류체계의 전환(즉, 사고체계의 전환)이라는 의미이고, 두 번째는 ‘근대적 자아’를 확립하지 못해 자아를 지킬 수 없는 근대 일본인의 혼란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쏙독새는 이름 바꾸기를 거부하고 하늘의 별이 되었는데 이는 ‘외발적’ 근대 문명의 수용을 극복하고 자신의 ‘자아’를 지켜낸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4-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4 | 0.725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