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내용적 관점에서 분석한 과학전시 국내연구 동향과 과제 = 과학전시의 이론화에 관한 고찰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9-252(1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과학 대중화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과학을 주제로 한 전시도 증가하고 있다. 과학전시는 과학이라는 소재를 다양한 방법으로 보여줄 수 있고 교육적인 측면을 넘어 과학에 대한 흥미, 창의적인 영감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과학을 이해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인 과학전시가 중요해짐에 따라 본 연구는 과학전시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현재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여 추가되어야 하는 과학전시 관련 연구 주제를 도출했다. 또한 과학전시 연구에 사용된 이론들을 살펴보고 과학전시 이론화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과학전시 관련 연구들을 조사·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된 과학전시 관련 연구는 2003년 이후 활발히 발표되었고 매년 많은 연구 논문들이 출판되고 있다. 과학의 대중화가 과학교육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된 것과 맞물려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과목 연계 등의 주제로 과학전시 분야에서도 교육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그와 더불어 기술, 매체의 발달과 함께 전시운영, 전시기법에 관한 논문들이 발표되었으나 전시의 특성과 기획 등 내용자체, 내용의 구성 등에 관한 논문은 다른 분야에 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국외의 경우에도 큰 틀에서의 전시 기획은 체계적으로 잡혀있으나 ‘과학전시’를 어떤 한 분야로 인식하고 그 분야에 대한 특별한 기획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과학과 전시를 각각의 분야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많으나 효과적인 과학전시 기획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과학전시’를 한 분야로 인식하고 일반적인 전시와는 다른 체계적인 접근과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실제 전시와 연구에 사용가능한 과학전시에 관한 이론화 작업이 요구되며 과학 콘텐츠가 효과적으로 대중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이 결과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과학전시 관련 국내 연구 현황을 파악하여 연구뿐만 아니라 과학전시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과학전시 분야의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과학의 대중화와 과학교육에 있어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science popularization is increasing every day, to reflect this, it has also increased exhibitions of science-themed. Science exhibitions not only can show the material of science in different ways, thereby increasing interest, and creative inspiration in science beyond the educational aspects. Therefore the science exhibition, which is one of the effective way to understand the science is important,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science exhibition-related, and to derive the science exhibition related research topics that should be added to analyze the flow of current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scope and contents are as follows. I examined the theory that was used in science exhibition research, and then I studied the need on the theorization of science exhibition.
For this reason, until now investigate the science exhibition related research that has been done in Korea, it was analyzed. The research that has been done in Korea, since 2003, been actively announcement and research papers have been published every year. Together with those that popularization of science has been carried out research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education-related papers in science exhibition areas such as non-formal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 correlation programs have been most announcement.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a have been published papers about exhibition operations, exhibition techniques. However, the content itself, such as plan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uch as paper on the science contents, does not much research advanced compared to other areas. In the case of abroad, exhibition planning of a large framework, has been systematically studied. However, it recognizes the “science exhibition” as any one field, research of special planning for the field has not been studied. Research to access the science exhibition in their respective fields such as education and design, are plenty. However, research is insufficient for effective science exhibition planning and contents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ifferent systematic approach to the general exhibition it is recognized as a field in which the “science exhibition” for the sake of effective science exhibition planning and content development. In addition, the theorized work on science exhibition are required that is available on actual exhibition and research. To science content is transmitted to effectively deliver, study of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have been added.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professionals in this field.
Consequently these finding suggest tha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continuously increased to have scientific exhibits respective national research not only research, scientific exhibition also is intended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horizon of scientific exhibition areas, it may be that there is meaning in the popularization and science educ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KCI등재 |
2019-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707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