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文科 直赴制 운영 실태와 그 의미 = The Privileged System of Civil Official Examinations in Chosoen Dynas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9-130(42쪽)
KCI 피인용횟수
20
제공처
There had been established the three stage system of civil official examinations to pass in Choseon dynasty, while an exception, 'Jikbu', had also been described in 'Constitutional Codes' or 'Kyeongguk-taejoen' in which the twice administrations in spring and fall allowed Seoul Confucian School students and other Confucian scholars directly to take the second stage examinations('Hoesi-JIkbu'), if they passed with high scores. The actual documents, however, tell us that they were not only benefited through the single administration by royal commands, but also they could get in the final third stage examinations('Jeonsi-JIkbu') in some occasions.
Confucian scholars were 7,700 passers who had gotten the benefit of Jikbu. 2,344 Confucian scholars passed civil dffical examinations among them.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2,344 passers was analysed with such items as applicant status, inhabitants, examination subjects, curricula vitae of stepping-in posts and others. Although 53.2% of them were from Seoul district, the 17th to 18th centuries witnessed a minor change (49.8%) when a courteous policy for local residents was adopted. The statistics of the final official positions at which they reached says that 49.7% of them (1,1164) occupied high chairs over the third rank or 'Tangsang-guan', 42.7% (1,002) took middle posts upward the sixth rank or 'Chamha-guan', and the rest 7.6% (178) had seats under the sixth rank. The proportion of ascending to high officials was relatively superior to the average number of normal examination passors. These facts seem to imply that the system constituted the core body of governmental officials at that time.
直赴는 조선시대에 시행된 문과를 비롯한 각종 과거에서 초시를 건너뛰고 회시 혹은 전시에 응시하는 것을 말한다. 직부는 원래 과거시험에 특혜를 주는 제도로 학교 교육의 장려책으로 마련된 것이나, 조선시대 직부제는 교육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慰撫의 성격을 함께 갖고 있었다. 『경국대전』에는 성균관 유생에게 봄과 가을 두 번의 시험을 시행하여 합산한 후 우수한 사람에게 회시직부를 시행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실제 시행된 문과 직부제는 국왕의 명으로 시행된 한 번의 유생과시로 직부의 특전이 주어졌으며, 그 특전은 회시직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시직부로 확대되었다.
직부의 특전을 부여하는 유생과시는 크게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특정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유생과시는 1월 7일에 시행되는 인일제, 3월 3일에 시행되는 삼일제, 7월 7일에 시행되는 칠일제, 9월 9일에 시행되는 구일제 등의 절일제와 전강으로 조선 후기에 와서 정례적으로 직부의 특전이 주어졌다. 삼일제․구일제 우등자에게는 대개 법전의 내용과는 달리 전시직부가 주어졌다. 인일제․칠일제 우등자에게는 주로 회시직부가 부여되었다. 이외의 직부전시를 부여하는 유생과시는 황감제․전강․도기과 그리고 특정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위무의 성격이 짙은 시험이다.
조선 시대에 직부의 특전을 부여받은 유생은 7,700명이었다. 이 가운데 회시직부자는 5,567명(72.3%)이며, 전시직부자는 2,094명(27.2%)이다. 직부의 특전을 받은 7,700명 가운데 문과급제자는 2,344명으로 직부자의 약 30%이다. 전시직부자 2,094명 중 신병으로 사망하였거나 정치적 문제로 문과 방목에 이름이 오르지 못한 사람 22명을 제외하고 2,071명이 문과방목에 이름이 있다. 회시직부자 5,567명 중 문과 급제자는 4.9%에 해당되는 273명 정도이다.
직부 출신으로 문과에 급제한 사람은 생원 263명(11.2%), 진사 407명(17.4%), 유학 1,172명(50%), 관직․관품 소유자가 494명(21.1%), 동몽․업유 등 기타 8명(0.3%)이다. 과시에 응시한 유생은 생원과 진사가 주류였으나, 19세기 들어 유학이 급증하여 전체적으로는 유학이 50%를 차지하고 있다. 과시에 응시한 관직․관품 소유자 494명 가운데 61%가 이미 생원 진사를 획득한 사람들로 과시 유시 당시에는 생원이나 진사라는 전력을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직부 출신 문과 급제자의 거주지는 서울 거주자가 53,2%로 압도적이었다. 그러나 서울 거주자의 세기별 추이로 보면 17세기와 18세기에 점유율이 다소 둔화되는 감이 있다. 특히 18세기에는 서울 거주자가 49.8%로 가장 점유율이 낮다. 이것은 숙종 후반기부터 지방유생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영조는 성균관 유생만이 응시하는 절일제에서 조차 우등자를 서울유생과 지방유생을 따로 선발하였으며, 제술 과목도 서울유생은 표문으로, 지방유생은 부로 정하였다. 영조의 지방유생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서울 거주자의 점유율을 둔화시키는데 일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직부자들이 문과 급제 후 진출한 최고 관직을 보면, 당상관 1,164명(49.7%), 참상관 1,002명(42.7%) 그리고 참하관과 관직에 진출하지 못한 자들이 178명(7.6%)이다. 최고 관직 분포로 볼 때 직부자의 당상관 점유율이 문과 급제자의 평균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직부 출신자들이 핵심 관료군에 속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8 | 2.253 | 0.4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