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민의 동원, ‘국민’의 형성 = 한국사회 ‘국민’ 담론의 계보학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61-293(33쪽)
제공처
본 연구는 한국 사회 내 주도적 담론, 지배적 정체성으로 작동하고 있는 ‘국민’의 기원을 추적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민족’이나 ‘민중’, ‘시민’, ‘인민’과 마찬가지로 ‘국민’은 식민지 근대가 배태한 매우 특수하고 역사적인 산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뿌리에 대한 언어사회학적, 문화정치학적 고찰은 거의 없었다. 주체와 현실을 이어주는 일종의 이념적, 인식적 창틀로서 ‘국민’이라는 말이 어떠한 문맥 하에서 탄생하였는지 계보학적으로 쫓아보는 것은 이론적으로뿐만 아니라 실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국민’이라는 담론의 본격적 탄생 시기를 일제 식민지 후기에 두고, 당시의 국가총동원체제가 여러 다양한 물리적 장치를 조건으로 해서 어떻게 ‘국민’이라는 담론과 주체를 형성했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보통사람들을 ‘제국의 일분자’로 동원코자 한 일제라는 전체주의적 국가체제가 ‘국민’의 배후에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해방 이후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국민’ 담론의 선전적 한계와 파시즘적 본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배적인 ‘국민’ 담론에 대한 역사유물론적인 해체 작업으로서, 기본적으로 문화연구와 문화정치의 입장에서 접근할 것이다.
더보기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the origin of 'gookmin', which is currently working as the dominant discourse and leading identit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Like 'nation', 'people' or/and 'citizen', the term of 'gookmin' is a very much particular and historical outcome of the colonial modernity. Nevertheless, however, there have been not so much serious socio-linguistic, cultural-political studies about its root. It is theoret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quite important to trace back the birth of 'gookmin', which is working as an ideological, epistemological frame in/between subject and reality. In this regard, this article will consider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key period of the birth of 'gookmin'. It will then critically scrutinize how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by adopted the colonial government has formed the discourse and subjectivity of "ookmin" based on various physical apparatuses. By revealing that a totalistic nation/state of Japanese colonialism is behind 'gookmin', which wanted to mobilize every individuals into a so-called article of empire,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e fascist and propaganda nature of 'gookmin' continuing even after the liberation. As a historical-materialist work of deconstructing the dominant discourse of 'gookmin', this study will basically take a cultural studies approach.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