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공론장으로서 TV 시사토론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한계 - KBS창원, <포커스경남>의 사례 = A Study on Debates Program of Local Television as Public Spheres The Case of <Focus Gyeong-nam> of KBS Changwon
저자
조효래 (창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3-186(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study explores the limitation and potentials of local TV debates program aspublic spheres, by analysing the agendas of debates, characteristics of panels andprocess of debates. The agendas of debates program of local television are faithful tolocalism. While the agendas such as local elections, local self-government, education, local developmental polici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frequently discussed,Labor problems and politically sensitive issues are rarely discussed. The most panels of debates are local politicians, local administrative officers, professors, experts, and representatives of civic organizations. The local public sphere of TV debates program is occupied by local power elites and intellectual elites. The debate program of Local Television is characterized by a round-table talk including some questions of chairman and answers of panels. Despite its potentials of forming public opinions, the influence of debate program of local television as a local public sphere is not strong. The main causes are a weak civil society, a political society of one-party rule, dependence of a local government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difference of local broadcasting to public sphere.
더보기이 글은 지역 시사토론프로그램의 의제와 토론자, 토론의 흐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역방송의 토론 프로그램이 지역공론장으로서 어떠한 특성과 문제점을 갖고 있는지 분석했다. 지역방송의 토론프로그램의 의제는 로컬리즘의 원칙에 충실한 편이다. 선거와 지방자치, 교육과 환경, 개발정책이 많이 다루어진 반면, 정치적으로 예민한 주제나 사회적 약자와 관련된 의제는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토론자는 지역정치인과 행정관료, 교수와 전문가, 시민단체 대표가 다수를 차지하여, 매체공론장은 지역사회의 지배엘리트와 지식엘리트들에 의해 독점되어 있다. 토론은 자유로운 찬반토론보다는 준비된 원고에 따라 사회자의 질문과 답변이 이루어지는 좌담회 성격을 띠고 있다.
토론프로그램이 지역공론장으로 활발하게 기능하지 못하는 이유는 지방자치의 취약성과 지역 정치사회의 종속성, 시민사회의 취약성과 협소한 지식사회, 지역공론장과 생활세계 사이의 ‘지역’ 범위의 불일치, 지역 공영방송의 역할에 대한 낮은 문제의식 등을 지적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역토론프로그램은 시민사회로부터 분리되고 정치사회에 규범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고립된 담론 공간으로 존재하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4-08-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지역사회학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7-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Regional Sociology ->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ociology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4 | 0.771 | 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